청주시 최초 위생 쓰레기매립장 ‘용정동’ 침출수 불법 방류
문암동 매립장 토양오염 논란, 학천리 매립장 악취 민원 제기

청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제2매립장이 3차 공모까지 단 한 곳도 신청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다. 청주·청원 통합 후 진행된 3차 공모는 기존 청원군 지역 2~3곳에서 관심을 표하며 기대를 높였지만 또 다시 무위로 돌아갔다. 청주시는 난제 해결을 위해 4차 공모에서는 신청조건을 완화했다. 청주시는 조건 완화를 통해 관심지역 신청이 가능해 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것이다. 혐오시설로 인식되지만 꼭 필요한 시설이기도 한 매립장, 해결책은 없는지 알아본다.

▲ 1999년 문암동 매립장 모습. 방역작업을 하는 사람의 머리와 등에 붙은 수많은 파리들이 당시 환경을 짐작케 한다.
불과 50년 전만하더라도 청주지역에는 별도의 쓰레기 매립장이 필요 없었다. 농업 중심 사회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가축의 먹이가 됐고, 가연성 쓰레기는 자연스럽게 아궁이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일부는 거름이 되기도 하고, 연료가 되기도 했다.

매립장의 필요성은 대두된 것은 도시가 형성되고 생활방식이 변하면서 부터다. 당시 주된 매립 쓰레기는 연탄재였다. 그 밖에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쓰레기들이 손수레를 통해 모아졌다. 이렇게 모은 생활쓰레기는 적환장과 비슷하게 소규모로 매립됐다.

김광렬 교수(충북대 환경공학과)는 “당시만 하더라도 분리수거 개념이 없던 시절이다. 쓰레기를 다른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보다 발생량이 많아지면서 매립이 시작됐다. 당시에는 도심 외곽 논이나 웅덩이에 별다른 시설도 없이 단순 투기형 매립으로 생활쓰레기를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이맘때면 매립할 쓰레기가 크게 늘어났다. 연탄재와 더불어 김장 쓰레기가 생활쓰레기의 큰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쓰레기 더미 위 아파트 건설
이 같은 비위생매립은 1985년 용정동 쓰레기 매립장이 들어서기 전까지 이어졌다. 도시가 발전하면서 소규모 매립지 위로 아파트가 들어서기도 하고, 택지개발이 이뤄지기도 했다.

1985년 처음으로 선보인 용정동 쓰레기 매립장은 최초의 위생매립장이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위생형 매립장이다.

염우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단장은 “위생매립장은 크게 2가지 요건을 갖춰야 한다. 박스 형태로 만들어 침출수 차집관로를 별도로 갖추고 가스 포집도 돼야 한다”며 “용정동 매립장은 완벽하게 시설을 갖추지 못했다. 공식적인 청주시 위생매립장 1호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천리 광역쓰레기매립장”이라고 설명했다.

▲ 사진설명-2001년부터 현재까지 청주지역 생활 쓰레기를 매립하고 있는 학천리 광역쓰레기 매립장. 이전보다 보완됐다고 하지만 악취 등 여전히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매립장과 관련해 주민들의 민원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것은 용정동 매립장 시절부터다. 청주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는 모두 용정동 매립장으로 향했다. 매립이 종료된 1993년까지 8년간 주민들은 엄청난 양의 파리와 사투를 벌여야 했다. 현재는 체육공원으로 변신한 용정동에서 만난 한 주민은 “한마디로 사람 살 곳이 못됐다. 민원을 제기해봐야 에프킬라 한 병 주는 게 전부였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용정리 주민들의 민원은 8년간 끊이지 않았다.

환경에 대한 인식도 낮았던 시기였다. 주민들이야 말할 것도 없었고, 행정기관도 별 수 없었다. 김광렬 교수는 “위생매립장 형태로 지어지기는 했지만 위생적으로 관리되지는 않았다”고 설명하며 “침출수는 차집해 매립장 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하수처리시설로 옮겨 처리해야 하지만 당시 청주시는 침출수 일부를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고 무심천으로 흘려보냈다. 나중에는 청주시도 이 같은 사실을 인정했다”고 설명했다. 납득하기 어려운 이야기지만 사실이다.

용정동 매립장의 뒤를 이은 것은 지금은 생태공원으로 변신한 문암동이다. 문암동 매립장은 1994년에 개장해 2000년까지 사용됐다. 문암동 매립장도 위생매립장을 표방하긴 했지만 곳곳에서 문제점을 드러내며 민원을 야기했다. 특히 1999년 확인된 침출수 유출 문제는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라고 주민들은 말한다.

문암동 매립장 아래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농수로 박스가 가로지른다. 당시 주민들은 쓰레기를 담고 있는 차수막이 훼손돼 침출수가 농업용수가 흐르는 농수로 박스로 흘러들어가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고, 수질검사를 의뢰한 결과 농업용수에서 침출수 성분이 검출되며 사실로 드러났다. 하지만 청주시는 수질검사자료를 공개하지 않고 대신 20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주민달래기에 나서 빈축을 사기도 했다.

당시 대책반에 참여해 활동했던 주민 정광모 씨는 “그 결과 농수로가 지나가는 곳은 매립을 하지 않았고, 너덜너덜해진 차수막도 보강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차수막 어느 곳인가는 새고 있었고 그 곳이 어딘지 알아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 후로도 그곳을 통해 침출수가 흘러나왔을 것이고, 지금도 나오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파리가 들끓고 악취가 쉼 없이 났다. 마을에 또다시 매립장을 만든다고 하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천리 강제 집행, 예상된 반발
앞선 두 곳의 매립장에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다보니 학천리 광역매립장은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1990년대 초중반, 쓰레기 처리는 전국적인 문제로 대두됐다. 대책마련에 나선 정부는 광역방식의 대규모 매립장 건설을 카드로 내세웠다. 정부가 예산을 지원해 주민생활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현대화된 매립장을 짓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반발했다. 광역쓰레기매립장소로 지목된 학천리는 의견수렴 절차도 없이 강제적으로 진행됐다. 일대 주민들은 격렬한 시위를 벌였고, 삭발투쟁도 마다하지 않았다. 하지만 1998년 공권력을 투입해 공사를 강행했고, 2001년 개장했다.

당초 5년간만 사용하기로 했던 학천리 광역쓰레기매립장의 사용연한은 2005년까지였다. 하지만 연장에 연장을 거듭한 끝에 지난해 최종 2019년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이 과정에서 청주시는 학천리 인근 부모산 공원부지에 158만㎥ 규모의 매립장을 새롭게 만들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기도 했다.

학천리 매립장은 문암동 매립장 경험을 통해 한층 발전된 매립기술을 선보였다. 고화토 공법으로 차수막이 터질 가능성을 낮췄고, 매립가스를 이용한 발전소도 선보였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점은 발생하고 있다. 악취에 대한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인근주민 윤성환 씨는 “당초 계획보다 14년을 더 운영하는 것이다. 악취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며 “이제 정말 끝이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