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립․군립 미술관, 미술창작스튜디오 놓고 운영방안 모색
내년 청주시립미술관 개관 변수…관장자리 놓고 설왕설래

통합 청주시 출범으로 공립․군립 미술관의 지도가 어떻게 바뀔 까 관심이 쏠리고 있다. 양 시군이 운영했던 미술관이 많지는 않다. 먼저 청원군에 있던 청원군립대청호미술관은 통합 이후 청주시 문화관광과 소속으로 바뀌었다. 청주시 한국공예관은 청주문화재단이 위탁운영하고 있는 데 앞으로 운영주체가 누가 될지는 미지수다.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는 청주시가 건립하고 운영은 시 사업소인 평생교육관 관리과에서 맡고 있다.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가 청주시립도서관 바로 뒤에 위치하고 있어서 평생교육관 소속이 된 것이다. 청주시립도서관이 평생교육관 소속이다.

그리고 지난 4월 첫삽을 뜬 청주시립미술관이 올해 완공돼 내년 상반기에 개관할 예정이다. 청주시립미술관 개관은 향후 미술관 운영계획에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청주시립미술관은 국비 등 79억원을 들여 부지 9134㎡, 연면적 4546㎡(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조성된다. 옛 KBS청주방송국을 리모델링해 전시, 교육 및 수장 기능을 갖춘다.

시립미술관에는 9개의 전시실과 수장고, 교육실, 자료정보실, 북카페, 휴게시설 등이 들어서며 시민들이 문화를 향유하고 다양한 여가 생활을 누릴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 지난 4월 첫삽을 뜬 청주시립미술관이 올해 완공돼 내년 상반기에 개관될 예정이다. 청주시립미술관 개관은 향후 미술관 운영계획에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관장 선임과 조직 구성안을 담은 내부 운영계획안을 청주시가 검토중이다.

분관형태 운영도 한 방법

청주시립미술관의 정확한 개관일자는 미정이다. 현재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 중이다. 내년 상반기 예정대로 개관을 하게 되면 기존의 시와 군이 운영했던 미술관들이 분관형태로 소속돼 관리 체계가 일원화 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현재 각 미술관마다 최소한의 인력이 배치돼 운영해 왔다. 미술관의 조직개편이 대대적으로 되려면 앞으로 인력풀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작가들의 작업실을 일정기간 지원하는 형태인 미술창작스튜디오의 관리주체도 다시 한번 논의해야 한다. 대전, 광주, 서울시립미술관은 자체 미술창작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청주시립미술관 소속으로 미술창작스튜디오가 들어올 지 지금의 평생교육관 체제로 갈지도 정해야 한다.

민선 5기에 첫 삽을 뜬 청주시립미술관이 민선 6기에서 어떻게 나아갈지 기대반 우려반 목소리가 들린다. 특히 초대관장을 누가 맡게 될지 미술인들의 촉각이 곤두서 있다. 이미 이승훈 통합시장 선거를 도왔다는 교수출신 미술계 인사들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초기에 시스템 갖춰 놓아야

이를 두고 지역의 한 작가는 “초대관장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 초기에 시스템을 제대로 갖춰놓지 못하면 10년은 고생한다. 관장을 시장이 선임하다보니 정치색을 띌 수밖에 없는 구조다. 관장에게 학예사를 뽑을 수 있는 권한을 주면 또 마찬가지로 관장에게 정치를 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미술행정이 제대로 구현되는 게 아니라 미술계가 정치화될 우려가 많다”며 “청주시립미술관이 개관하더라도 각각의 미술공간들은 독립성을 확보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청주시에서는 지금 통합 청주시 이후 전체적인 미술관 운영계획에 대해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전국의 시도 광역단위 미술관을 보면 관장 선임을 놓고 갈등이 왕왕 벌어진다. 또한 관장과 학예사들과의 대립도 첨예하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역미술계 인사들도 청주시립미술관의 운영방안과 관장선임 문제 등에 의견을 내고 있다.

다각적인 인물 검증절차 필요해

미술인 A씨는 “전국에 10개 정도의 시립, 도립미술관이 있는데 교수출신의 작가들과 미술행정가(학예사)출신들이 반반이다. 둘 다 문제를 안고 있다. 교수를 관장으로 세우면 자기사람을 줄줄이 심게 된다. 작품 구입도 서로 품앗이로 밀어주기도 한다. 무엇보다 관장을 선임할 때 검증절차가 다각도로 이뤄져야 한다. 외국에서는 작가 한명을 추천하려고 해도 철학, 문학, 음악, 행정하는 사람이 모여 평가한다. 미술관 관장에 대한 인사위원회를 구성할 때 다양한 부류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검증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방송국의 피디(PD)들은 평피디로 있다가 진급해서 부장, 국장으로 갔다가 다시 평피디로 일선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길이 있다고 하더라. 학예사 출신이 관장이 됐더라도 다시 학예사로서 자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길을 만들어 주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미학을 전공한 B씨는 “지금은 관장이 누가 될 지 관심이 쏠리지만 관장선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조직구성이다. 좋은 미술관은 좋은 전시기획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올해 118억원을 예산으로 세웠고, 대구시립미술관은 117억원을 세웠다. 대전시립은 40억원 정도다. 예산을 충분하게 반영한 곳이 성과를 내고 있다. 미술은 곧 자본의 문제다. 자본과 인력이 제대로 배치돼 있지 않으면 그냥 관리만 하는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라고 조언했다. 또한 무엇보다 능력있는 학예사와 관장을 채용하기 위해서는 공정한 인사위원회가 가동돼야 한다는 것.

결국 사람과 자본의 문제

현재 청주시립미술관은 12명으로 구성된 건립자문위원회만 구성돼 있다. 개관이 되면 건립자문위원회 대신에 운영위원회를 비롯한 인사위원회 등 조직을 정비해야 한다. 관장과 학예사를 전국공모로 채용할 지도 아직까지 정해진 바가 없다. 미술관장은 공무원 직급으로 보면 서기관 4급이다. 일각에서는 “차라리 행정가가 와서 조직을 안정시킨 후에 전문가를 영입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라는 안도 흘러나오고 있다.

청주시립미술관은 지역 미술계의 염원을 담아 건립되는 것이다. 하지만 장소의 협소성과 운영할 수 있는 충분한 재원마련이 가능할 지 미지수다. 또한 2015년 착공하는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이 문을 열면 어떻게 조화를 이룰 지도 지역미술계의 변수 중 하나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옛 연초제조창에 들어서며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1층부터 4층까지 사용한다. 수장고와 전시장이 들어서게 된다. 이밖에 청주지역에 사립미술관과 사립갤러리들이 몰려 있어 청원지역의 문화향수권을 어떻게 확보해나갈지도 고민해야 한다.

미술계 관계자들은 “청주시립미술관이 동네미술관으로 전략할지 아니면 전국의 작가들이 전시하고픈 공간이 될지는 결국 돈과 사람의 문제다. 청주시가 건립만 하고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다면 문을 열자마자 동네미술관으로 전략할 것이다”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