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공무원·주민요구 증폭… 논란 지속될듯

속보=KTX세종역 신설(본보 2월 20~21일 1면 보도)이 1년만에 다시 불거지면서 실현 가능성이 주목된다.

지난해 2월 KTX세종역 신설 추진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오송역 기능 쇠퇴라는 위기감에 빠진 충북이 크게 반발했다. 이에 당시 국토해양부가 ‘계획이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히면서 일단락됐다. 하지만 1년만에 세종시가 도시기본계획에 KTX 역사 신설 추진을 포함시키면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지난 19일 세종시는 시내 국가기간철도망인 KTX 역사 신설 추진, 관문인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등의 내용을 담은 2030세종 도시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는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와 국토계획평가 결과에 따른 것이다.

세종시의 도시기본계획 확정 발표와 함께 KTX세종역 신설 추진에 대해 충북도가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자 국토교통부는 언론보도와 관련해 두차례에 걸쳐 ‘결정된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일 보도 해명자료에선 “국토계획평가시 KTX 세종역사가 필요하다는 논의를 했다는 보도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며 “세종시가 우리 부에 제출한 2030 세종시 도시기본계획(안)과 국토계획평가 요청서, 평가 검토결과에서 KTX 세종역사는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세종시는 지난 19일자 ‘2030 세종시 도시기본계획’ 수립 완료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국가행정기능을 수행하는 전국의 거점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국가기간철도망인 KTX역사 신설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추가됐는데, 이는 시 도시계획위원회 및 국토계획평가 심의 의견에 따른 것이다”라고 밝혔었다.

KTX 세종역 신설 문제가 잊을만 하면 불거지는 것에 대해 국토부가 해명하고 나섰지만 우려감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2015년 국가철도망계획 수정 포함을 위한 사전작업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세종역 신설 논란은 지난해 초 한국교통연구원이 연구용역을 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보도로부터 시작됐다. 당시 국토해양부가 논란이 커지자 “세종역 신설은 없다”고 해명했다.

세종역이 신설되면 KTX전용 경부선과 호남선 분기점이 된다. 아직까지 오송역이 분기역 역할을 하기로 돼 있다. 충북지역이 세종역 건설에 강하게 반발하는 건 이 때문이다.

국토부의 적극 해명으로 가라앉는 듯 하던 세종역 논란이 세종시 정부부처 공무원들의 단체지각으로 수면위에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지난해 6월 10일과 11일 서울에서 출발한 통근버스가 사고로 인한 고속도로 정체로 연착하는 바람에 1000여명에 달하는 공무원들이 단체지각했다. 당시 KTX 세종역만 있었더라도 수요 분산으로 인한 ‘지각 참사’ 피해를 줄일 수 있지 않았겠냐는 말들이 나왔다.

세종시 첫마을 이주가 시작된지 1년이 넘어서고 있으나 이주 공무원과 거주하는 주민들의 불만은 여전하다. 서울에서 11시 30분(서울역발) KTX 막차를 타고 12시 20분쯤 오송역에 도착하면 이미 BRT 막차(11시 20분)가 끊겨 택시를 타야 한다. 심야할증에 행정구역 변경 할증까지 적용하면 20 거리 요금이 3만원 넘게 나온다.

세종시에는 KTX 역사가 한곳도 없어 세종시민이 KTX를 타려면 인근 충북 청원군 오송역이나 대전역을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이 해소되지 않는 한 세종역 신설 논란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지역경제계 관계자는 “세종시 규모가 커질수록 KTX세종역 신설 요구에 대한 요구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차원의 세종역 신설을 대체할 방안 마련을 요구하는 등 논의 초기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