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노 충주담당 기자

충주시에서 인구를 늘리기 위한 각종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다. 자치단체가 나선 지는 이미 오래됐고, 이젠 민간단체도 앞장서고 있다. 택시에 ‘아이러브 충주’라는 홍보 스티커를 부착하는가 하면 ‘인구늘리기-주민등록 갖기’ 활동에 본격 나서 기업과 대학과의 캠페인 협약, 주요 시가지 가두 홍보활동 등을 벌인다고 한다.

인구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문제는 단순한 숫자 늘리기에 연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시는 그동안 기업을 유치하면 인구가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해왔다. 인구 30만 자족도시 구축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자축했고, 기업유치에 합격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2012년 투자협약을 한 기업이 15곳, 협약 없이 공장을 설립한 기업이 58곳 등 모두 73개 기업이 충주에 새 터전을 마련했다. 이 중 2곳을 제외한 나머지 71개 기업이 지난해부터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시의 당초 계산대로라면 충주지역 인구는 증가했어야 한다. 하지만 유치기업들이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한 지난해 충주지역 인구는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줄었다.

2012년 12월 말 현재 충주시 인구는 21만 1395명(외국인 포함)으로 전년보다 47명 늘었다. 당시 시는 인구가 증가한 것이 기업유치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때문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기대감도 잠시, 1년이 지난 지난해 말 현재 인구는 21만 1383명(외국인 3268명 포함)으로 전년보다 12명 줄었다.

물론 늘거나 줄어든 인원이 적기 때문에 그냥 간과할 수 있지만 수십 개의 기업이 들어온 점을 감안하면 간단히 넘길 일은 아니다.

인구가 준 원인은 무엇일까? 충주에 이전한 기업 근로자들이 주소를 옮기지 않았기 때문이고, 여기에 가족이 아닌 근로자 본인만 충주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는 이런 이유로 입주 기업 근로자들 및 원룸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민등록 전입신고를 유도하고 있지만, 적극적인 협조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자발적 참여가 부족하다는 뜻인데 입주 기업 근로자 등을 탓할 문제는 아니다. 자녀 교육 여건 및 환경적인 요건이 갖춰졌다면 말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거주지를 옮겼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는 어려움을 호소하기에 앞서 정주여건 조성에 힘을 쏟아야 한다.

과거 1960~70년대 우리나라 인구는 일자리를 찾아 서울 및 수도권으로 집중됐고, 그 현상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인구가 많다보니 자연스레 세수입 증대로 이어졌고, 인력 인프라도 넘쳐났다.

이런 점에서 지방 중소도시는 인구늘리기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일자리가 적고 주변 정주여건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전입신고를 유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지방에 살 경우의 혜택과 이점, 다른 지역과의 차별화된 정책으로 진정한 의미의 인구늘리기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