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옥균 경제부 기자

물욕은 인간의 본성이다. 문제는 인간의 역사가 거듭되면서 물욕이 점점 더 부정적인 형태로 진화해간다는 점이다. ‘나는 많은 것을 가질테니 너는 조금만 가지길’바라고, 물질을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물질의 노예가 되고 만 것이다. 정치·사회·경제·문화 모든 분야에서 물욕은 건전한 성장을 망치는 원인이다.

오송역세권개발도 맥락을 같이 한다. 개발을 통해 이익을 취하려는 주민이나 오송역세권 개발을 통해 지역발전과 연결시키려는 충북도의 전략도 그 바탕은 물욕이다. 주민대책위는 충북도가 약속한 오송역세권개발을 실현시키지 못할 경우 실력행사를 하겠다고 아우성이다. 충북도는 손 안대고 코 풀려다 방향을 잃은 모양새다.

민간개발을 추진했지만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사업의 불확실성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결국 무위로 돌아갔다. 고육지책으로 개발면적을 줄였지만 민간기업은 여전히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결국 청주시와 청원군까지 끌어들여 공영개발과 민간개발의 절충형을 내놨지만 1500억원(면적을 축소한 상태에서)을 선뜻 투자할 기업이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이런 이유로 충북도는 이제 와서 주민 운운하며 4월말까지 결론을 내리겠다고 발표했지만, 무책임한 출구전략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결국 충북도의 선택이 포기로 귀결될 경우 난개발은 불 보듯 뻔한 일이고, 보기 흉한 오송역세권의 모습은 훗날 충북도의 큰 과오로 남게 될 것이다.

오송역세권의 개발호재를 제대로 누리기(?) 위해 날림 건축물을 짓고, 무분별하게 나무을 심는 토지주들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는 없다. 취재 결과 이같은 행위가 토지주들에게 가져다주는 이익은 그리 크지 않다. 반면 개발을 진행하는 사업시행자 입장에서는 토지보상비보다도 지장물 보상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는 상황이 발생한다.

최근 지역 내 전문가들은 여러 해법을 쏟아놓고 있다. 개발면적을 줄인 만큼 제척된 배후지역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주민이 참여하는 환지 방식을 통해 초기투자에 대한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 밖에도 오히려 때를 더 늦추고, 산업단지 등 주변 인프라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를 통해 역세권 개발의 투자가치를 높이면 민간투자도 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같은 제안들은 모두 오송역세권개발은 꼭 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나오는 것이다. 그만큼 충북에게 역세권개발은 꼭 성사돼야 할 일이라는 뜻이다. 지금이라도 하나하나 처음부터 풀어나가야 한다. 대립이 아닌 공존, 자신의 입장이 아니라 서로의 입장을 헤아려야 한다. 그리고 궁극적인 목표를 향해 힘을 모아야 한다.

충북도의 일련의 발표에서 고민의 깊이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역세권이 애당초 꾸었던 장밋빛 청사진이 될 때, 충북도의 고민도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