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모두 WHO기준 넘어, 경기 가장 심각

전국 11개 초미세먼지(PM2.5) 대표 측정지점 중 6곳에서 지난해 대기중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부터 적용할 대기환경기준(연평균 25㎍/㎥)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 기준(10㎍/㎥)을 적용하면 모든 측정 지점이 1년 내내 기준치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환경부는 7일 2011년~2012년 전국 11개 지역의 초미세먼지 연중 측정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초미세먼지는 크기가 머리카락 굵기의 30분의 1 이하(직경 2.5㎛)로 작아, 호흡을 통해 폐 속 깊이 들어가 호흡기와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대표적 대기오염물질이다. 2009년 국립환경과학원은 서울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10㎍/㎥ 올라갈 때마다 조기사망률이 0.8%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환경부 발표 자료를 보면, 서울·인천·대구·대전·광주·울산·강원(춘천)·경북(포항)·경기(의왕)·제주(애월)·백령도 등 11개 지역 가운데 초미세먼지 오염이 가장 심한 곳은 경기도였다. 경기도의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32㎍/㎥으로, 세계보건기구 연평균 권고 기준(10㎍/㎥)의 3배가 넘었다.

서울의 대기중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011년 29.3㎍/㎥, 2012년 25.2㎍/㎥로 최근 2년 내내 대기환경기준(25㎍/㎥)을 넘어섰다. 이 농도는 미국 뉴욕의 2배에 가까운 것이다. 특히 서울과 대전에서는 2011년과 2012년에 24시간 환경기준치(50㎍/㎥)을 초과한 날이 각각 68일, 63일이나 될 정도로 고농도 현상이 잦았다.

이처럼 전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것은 화력발전소와 공장,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이외에 중국발 오염물질의 영향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는 “자체 오염원이 적은 백령도에서도 2011년부터 2년 동안 초미세먼지가 일 평균 기준 이상 고농도를 기록한 날이 25일이나 됐다. 이는 중국의 오염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유입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최근까지 한국과 중국·일본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우리나라 대기에서 광화학반응을 통해 초미세먼지를 형성하는 황산화물의 30%와 질소산화물의 40%가량이 중국에서 날아온 것으로 추정됐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5월 열릴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중국발 대기오염물질 유입 문제를 적극 제기하는 한편, 상반기 중에 초미세먼지 종합대책을 마련해 2015년 대기환경기준이 적용되기 전이라도 가능한 대책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황석태 환경부 기후대기정책과장은 “미세먼지 예보제를 올해 수도권에서 미세먼지(PM10)를 대상으로 시범실시한 뒤, 내년부터는 초미세먼지(PM2.5)를 포함시키고 지역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