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태 전 청주시의원

충북에서는 지금 굵직한 현안인 청주청원 통합 추진, 경제자유구역청 설치, 혁신도시 활성화 등이 지역갈등의 문제점으로 표출되고 있다. 청주청원 통합에 따라 앞으로 통합청주권의 비중이 수도권 편중화 못지 않을 것이다.
충북발전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청주권의 면적(997)은 충북전체(7433)로 13%에 불과하지만 인구는 52%(충북 157만3900명, 청주권 81만7794명)를 차지해 수도권 인구 편중비율 4.9%보다 높다. 주요 경제·사회기능도 청주권에 집중돼있다.

이밖에 지역 내 총 생산(50.7%), 서비스업체 수(50%), 예금액(63%), 의료기관 수(56.9%), 대학 수(50%), 대학생 수(57.4%), 자동차 수(50.8%)등 모두 50%를 웃돌고 있어 이제는 수도권 편중과 함께 청주권 집중화를 논해야 할 시점이다.

특히 균형발전을 위해 도청을 옮긴 충남, 전남, 경남·북등과 같이 충북도 통합청주시 청사와 맞물려 도청사 이전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통합 청주시 청사는 자칫 잘못하여 정치인들의 게리멘더링에 의해 정해진다면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낸 것과 같다. 중앙초와 주성중의 이전과 함께 상당구 도심공동화라는 사회적 문제도 사전 검토대상이 되야 한다.

충북혁신도시 활성화는 혁신도시를 진천·음성 경계에 위치했다는 것부터 문제다. 활성화를 위해서는 청주권-혁신도시가 최단 구간인 증평 두타산 동쪽으로 36번 국도와 혁신도시간 연결이 필요하다.

또한 같은 분지 안의 지방자치단체인 진천·음성을 통합하여 천안·아산과 경쟁할 수 있는 도시로 발전해 나아갈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동안 3번에 걸쳐 실패했던 청주청원 통합이 충북도가 적극적인 입장으로 나서면서 4수만에 성공을 이뤄냈다. 바로 광역자치단체의 역할이 시·군 지역간 갈등을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모범사례인 셈이다. 진천·음성의 통합 문제도 거시적 안목으로 접근한다면 충북도가 정치적 오해를 받지않고 제 역할을 해낼 수 있다고 믿는다.

이밖에 기존에 제안된 북부권의 첨단·한방산업육성과 남부권의 자연 친화형 산업 육성 등으로 불균형해소에 나서야한다. 계사년은 변화가 많아 이때 준비하면 앞으로 큰 결실을 맺는다고 한다.

충북도는 자신의 권한인 충북 경제자유구역청사 위치는 지켜봐달라고 하고 기초자치단체간 갈등을 방관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큰 틀에서 광역도시행정을 함으로써 앞으로 발생되는 지역갈등 비용을 해소하고 지역의 유·무형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내년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의 이해득실을 떠나 지역 경제·사회·교육 등의 가치를 재창출한다는 비전으로 충북 미래발전의 초석을 놓기를 기대한다. 알고도 실천하지 않는다면 후대에 냉엄한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