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석 건교부장관, “올 하반기에 최종 후보지 선정할 것”
충북도, “입지 이야기는 조심스러워…추진위 구성하면 구체화될것”

한동안 전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총선이 끝나자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충북도민들은 특히 이번 총선에서 대통령 탄핵에 대한 응징 외에 신행정수도 충청권 이전의 기대가 높아 열린우리당을 전적으로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당과 달리 열린우리당은 일찌감치 이를 당론으로 채택했기 때문이다.

강동석 건설교통부장관은 지난달 26일 강남 및 수도권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신행정수도 최종 후보지 선정을 당초보다 앞당겨 올 하반기에 선정하겠다고 발표, 관심을 끌고 있다. 건설교통부와 열린우리당은 이 날 국회에서 주택 부동산 시장 현안에 대한 당정회의를 갖고 이같이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정부는 오는 6월까지 신행정수도 복수 후보지를 선정하고 추진위원회에서 올 연말 최종 후보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었다.

더욱이 청원군 오송이 강력한 후보지로 거론되자 충북 도민들은 예외없이 신행정수도 최종 후보지 선정에 눈길이 쏠려 있는 것. 신행정수도 건설은 지난해 12월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 등 3대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빠르게 진행돼 왔으나 3월 12일 대통령탄핵이라는 사상초유의 사태를 맞이하면서 주춤해 왔다.

탄핵정국이 가로막고 있어

이와 관련 이두영 청주경실련 사무처장은 “부지선정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야 투기로 인한 부작용을 막고 과열 유치경쟁 해소 차원에서도 좋을 것이다. 지방분권운동충북지역본부는 지난해 3대 특별법 통과 이후 관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수종 지방분권운동충북지역본부 상임대표(충북대 경제학과 교수)는 “충남북과 대전 등 3개 시·도가 신행정수도 입지에 대해서는 거론하지 않기로 해 입지 이야기는 하지 않는 게 좋다”며 탄핵정국이 지나가야 일이 제대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충북도에서 이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이종배 바이오산업추진단장은 “탄핵정국과 총선 때문에 지연된 것은 사실이나 다음 달 중순 경 탄핵정국이 풀리면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으로 본다. 그러면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가 구성되고 임면권자인 대통령이 국무총리와 민간인 1명 등 2명을 위원장을 임명하며 평가위원·자문위원들이 구성될 것이다”며 “현재는 신행정수도건설추진지원단에서 실무를 챙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단장은 신행정수도 건설이 노대통령 공약사항으로 나온 것이기 때문에 도민들 사이에서는 ‘과연 올까’ 하는 식으로 의구심을 가지고 있으나, 지난해 3대 특별법이 통과되고 4월 17일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 시행령이 효력을 발생해 틀림없이 실현될 것이라고 못박았다. 다만 국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고 충북외에 다른 시·도도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어 조심스럽다는 뜻을 내비쳤다.

따라서 현재 충북도는 바이오산업추진단 내에 각각 4명으로 구성된 행정지원팀·입지지원팀을 두고 행정적인 업무를 진행해오고 있다. 이 단장은 또 “작년까지는 준비단계로 특별법을 구성했고, 2004∼2007년까지는 계획단계로 입지선정, 토지매입 등을 추진할 것이다. 그리고 2007년 하반기부터 2011년까지는 건설단계로 접어들어 도시기반시설을 조성하는 한편 정부종합청사를 이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게 되면 2012년부터는 본격적인 이주가 시작될 것이다”고 밝혔다.

신행정수도건설추진기획단은 지난해 11월 노무현 대통령과 관계장관, 국회 건설교통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행정수도 기본구상안 및 입지기준 시안을 보고하는 자리에서 “오는 2030년까지 2291만평에 50만명을 수용하는 신행정수도를 충청권에 건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시 말해 신행정수도가 오면 증평(2500만평)보다 약간 작은 도시가 생기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수도권 인구는 51만3000명이 줄어들고 충청권 인구는 65만1000명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시는 친환경 문화적으로 건설하되 상생과 도약이라는 이념을 도입하고 국제현상공모를 거친다는 것도 이 자리에서 나온 얘기다.

“접근성·환경성·경제성 고려할 것”

한편 현재 도민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신행정수도가 과연 충북으로 올 것인가 하는 문제다. 하지만 충북도 측에서는 국민 설문조사에서 나온 5개 항목과 전문가 설문조사에서 나온 20개 세부항목으로 성적표를 매겨 확정지을 것이라고만 했지 자세한 설명은 피했다. 다만 이종배 단장은 5개 항목이 국토 균형발전, 접근성, 환경성, 경제성 등을 고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점은 이미 지난해 10월 국토연구원·대한지리학회·대한도시학회·국토계획학회 등 14개 기관으로 구성된 ‘신행정수도연구단’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연 신행정수도 입지 기준에 대한 세미나에서도 확인됐다. 이 날 주성재 경희대 교수는 신행정수도 입지 기본방향으로 국민통합적 측면에서 통합성과 상징성, 국토의 중심이라는 중심성, 정치행정수도의 자족성, 쾌적한 환경을 자랑하는 환경성 및 안전성을 들었다. 현재 도내에서 예상후보지역으로 거론되는 곳으로는 진천·음성·청원지역 21개 면 215개 리로 알려졌다. 충남에서는 논산·부여·계룡·연기·천안 등의 지역에 대해 정부에서 통계자료를 요구했다는 후문이다.

충북도민들은 공항과 오송 전철역,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면에서 편리한 점과 국토의 가운데라는 점 등을 들어 밀릴 이유가 없다고 보고 있다. 그렇게 되면 충북은 공항 활성화, 주변 개발효과, 도시기반 확충, 그리고 수도권주민이라는 자부심까지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수종 충북대 교수는 “신행정수도가 가져올 변화에 대해 그동안은 땅값 상승과 취업 활성화, 건설경기 호조 등의 예를 들었지만 앞으로는 사회, 문화, 교육적 변화를 따져봐야 한다. 우

선 행정수도가 충북으로 오면 서울로 교육받으러 갈 필요가 없고, 이 곳이 문화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 지방사람이라는 의식도 벗어날 수 있고 상당한 변화가 올 것”이라고 적극적으로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