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품경진대회 수상작품, 상품화 개발지원 전무해
위탁업체인 공예협동조합 투명성 논란…지역작가 공모전 외면한지 오래

2004 관광공예상품 공모전이 오는 6월 19일부터 25일까지 예술의전당 대전시실에서 열린다. 전국공예품 경진대회는 올해로 34회를, 관광품 경진대회는 7회를 맞았다. 충북도는 행사경비 절감을 이유로 2002년부터 첨단산업과와 관광과에서 번갈아가며 두행사를 묶어 열고 있다. 실질적인 위탁운영자는 관광협회와 공예협동조합이다.

그리고 공예품의 경우 관광상품과 달리 예선전과 도 경선을 통해 걸러진 공예품들이 전국대회에 나간다. 청주시는 공예품 경진대회의 예선전을 4월 14일부터 접수를 받아 심사를 거쳐 선정된 작품들을 20일부터 25일까지 한국공예관 전시실에서 갖는다.

시는 매년 공예협동조합에 위탁운영을 맡기고, 12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 가운데 550만원이 시상금으로, 나머지는 행사경비로 쓰인다. 그리고 도 경선에서도 공예협동조합은 1500만원의 예산지원을 받는다. 역시 시상금과 홍보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공예인 육성과 지역 공예인들의 의욕고취를 위해 마련된 경진대회는 일회성 행사에만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있다. 전국대회에서 수상한 작품일지라도 지자체에서는 상품화하는 노력이 전무해, 수상작 시상으로 모든 행사가 끝나고 있다는 것. 따라서 일부 공예인들은 “경진대회의 존폐와 방향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더군다나 대회를 위탁받은 공예협동조합은 지역작가들과의 갈등으로 현재 소수의 조합사람들만 이 대회에 참여하고 있어서, 청주시는 지금까지 전국단위에서 이렇다할 수상기록을 내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공예협동조합 투명성 문제 제기

이에 공예협동조합 이보일 이사장은 “전국에서 충북도의 예산지원이 꼴찌다. 행사진행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우리 단체가 아니면 할 단체가 없기 때문에 사명감으로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에 시와 도도 같은 입장을 설명한다. “위탁을 개인에게는 맡길수 없고, 도행사이므로 도단위 단체에 맡겨야 하는데 공예협동조합밖에 맡길 곳이 없다. 그리고 예산문제는 담당과에서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지만, 의회에서 공예관련예산은 제1순위로 깎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다”는 것.

그러나 위탁을 맡고 있는 공예협동조합의 투명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보일 이사장과 알공예작가 주향미씨가 단체를 꾸려가고 있지만 정작 회비를 내는 회원은 20~30명. 또한 전국단위의 공예협동조합에서 가입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이 이사장은 “전국단체에 가입한다고 해도 혜택을 받는 것이 전혀 없기 때문이고, 달마다 5만원의 회비를 내기도 어렵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공예협동조합 대다수의 회원들은 공예를 취미와 부업삼아 하는 사람들이다. 전문 공예작가들은 이미 조합을 떠난지 오래다. 지역의 한 공예작가는 “초창기때 지역작가들이 출자금을 내 공예협동조합을 만들었다. 공예품 경진대회는 예전에는 상공회의소에서 개최했다가 공예협동조합이 만들어지면서 행사를 위탁받게 됐다. 그러나 98년 현 이사장이 선출되면서 독단적인 운영과, 검증되지 않는 공예인구들을 회원으로 받아들여 공예작가들은 그 자리를 떠날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이사장은 지역작가들이 참여하지 않고, 외면하는 것에 대해 “공예작가들이 순위에서 떨어지면 자존심이 상하기 때문에 작품을 내지 않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러한 미묘한 알력싸움으로 청주시의 공예 출품작들은 생활공예에 치중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청주시가 공예품 경진대회에서 역대 수상기록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그래서 대부분의 조합회원들은 도단위 경진대회에서는 공예품 분야가 아닌 관광상품분야로 출품하고 있다. 지난해 박차봉씨의 칠보악세사리가 그러한 예로 시에서는 공예분야로 출품됐지만, 도에서는 관광분야에서 대상을 탔고, 전국대회에서 입선을 했다.

또한 지난대회의 심사과정을 보면 공예분야와 관광분야를 한 전시장에서 동시에 놓고, 12명의 심사위원들이 두 분야를 함께 심사했다. 이에 제천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한 전통공예인은 “공모전에 작품을 내더라도 이를 평가할 식견을 갖춘 심사위원들이 없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경진대회, 기능올림픽 수준 머물러

한편 도 단위 대회가 열리는데 청주시가 예선전을 치르는 것은 예산낭비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청주시는 “국제공예비엔날레를 치른 도시이기 마땅히 있어야 하고, 또한 이 대회마저 없으면 공예인들의 사기가 떨어진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대상작이라고 해도 상금 150만원을 받는데 그칠뿐이다. 또한 청주시는 비엔날레가 열리지 않는해에 약 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국공예문화상품대전을 열고 있다. 2002년에 열린 이 행사로 ‘직지넥타이’를 상품화했으며, 올해는 10월에 제2회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대상수상자의 수상금은 1천만원이다.

공예상품대전을 맡고 있는 재단의 한 관계자는 “공모전의 방향 찾기가 제일 과제다. 이미 해외는 물론 우리나라의 주요박물관들도 몇년전부터 문화상품만들기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따라서 심사위원들이 작품을 뽑을때도, 차후 상품화 가능성을 보고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마디로 공예품 경진대회는 구시대의 ‘기능올림픽’수준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분야별로 순위를 가르고 메달을 주는 데 그치고 있는 것이다. 지역의 한 공예인은 “몇년을 애써 만든 작품의 수준이 뛰어나더라도, 작품이 상품화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 개인이 작업을 근근히 이어오고 있는, 영세한 구조다. 그러나 지자체 지원은 개인에게 하지 않고, 또한 작가가 상품을 개발해 나갈 만큼 물리력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지자체 지원이 되려면 공예인들이 한목소리를 내는 조합을 형성해야 가능하다”며 “단양과 진천에서는 도예촌을 형성해가고 있다. 도에서도 예산을 지원했다. 현재 개인에게 지원을 해주면 형평성 논란이 일어날 것이다”고 해명했다.

관광기념품의 사정은 그나마 조금 나은편이다. 올해는 관광아이디어 상품인 시제품과 완제품으로 나누어서 전시하고 있고, 아이디어 제품인 시제품의 경우 상품화 개발비를 정부차원에서 지원해주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전국대회입상자에 한해 개발지원비 500만원이 내려왔고, 관광상품개발업체에 대해서는 융자도 해주고 있다. 그러나 관광상품 역시 수상작들의 전시관 조차 마련돼있지 않고, 홍보도 해마다 수상작 팸플릿에 게재하는 것으로 그치고 있다. 

인터뷰 / 공예협동조합 이보일 이사장

“우리말고 할 단체가 있냐고…”

공예협동조합의 이보일 이사장(65)은 공예품경진대회를 맡아오며 행사의 투명성과 작위적인 심사위원선정, 그리고 이사장 연임등의 ‘불편한 꼬리표’가  늘 따라다녔다.  그는 공예와의 연결고리도 애매하다. 공예작가도 아니고, 그렇다고 공예전문가도 아니다.
시청에서 공직생활을 마감한 그는 “아내가 한지공예공방을 운영하고 있었고, 그러던 찰나에 조합에 소속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이사장은 “이사장직은 3년마다 총회를 통해 선출하는데, 연임했을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경찰투서를 받아 6개월간 조사받은 적도 있다. 지원도 얼마없는데, 무슨 투명성 문제가 제기되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그리고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행사를 지속하는 이유는 “우리가 아니면 할 단체가 없다”며 “비판세력이 있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하지만 정체성이 불분명한 단체가 공예공모전을 이끌어오다보니 행사의 질이 떨어지고 있고, 행사내용이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우리 조합사람들은 아무도 비판안한다”며 같은 말만을  되풀이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