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기 청주광역소각시설 두고 시의회와 집행부의 갈등
윤 의원 “전처리 시설과 100톤 규모 소각로 설치”
청주시 “당초 계획대로 200톤 규모 소각로 설치”

2014년 완공되는 제2기 청주광역소각시설 건설 계획을 놓고 청주시와 청주시의회 윤송현 의원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윤 의원은 앞으로 분리수거 강화 및 재활용 정책을 펴서 소각로 건설 규모 축소를 주장하는 데 반면 청주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당초 계획대로 건설해야 한다는 논리다.

윤 의원은 “전처리 시설을 확보한 100톤 규모의 소각로 설치”를, 시는 “전처리 시설이 생략된 200톤 규모의 소각로 설치”를 각각 주장하고 있다. 시는 휴암동 광역소각장 내에 사업비 553억원(국비 271억원·도비 271억원·시비 254억원)을 들여 1일 200톤 처리규모 2기 광역소각시설을 추진 중이다.

▲ 시는 휴암동 광역소각장 내에 사업비 553억원을 들여 1일 200톤 처리규모 2기 광역소각시설을 추진 중이다. 윤 의원은 전처리 시설을 확보한 100톤 규모의 소각로 설치를, 시는 전처리 시설이 생략된 200톤 규모의 소각로 설치를 각각 주장하고 있다.

윤송현 의원 2차례 5분 발언

윤 의원은 지난 21일 열린 제305회 청주시의회 임시회에서 ‘2기 소각로 건설 계획 수정 촉구’라는 주제로 5분 발언을 했다. 윤 의원은 “쓰레기 발생량을 도식적으로 파악해 1기 200톤 소각로의 대응으로 2기 200톤을 추진하고 있다. 소각로는 용량의 70%이상의 쓰레기가 있어야 효율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쓰레기가 부족하면 기름을 부어 소각로를 가동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청주시가 2기 소각로 200톤을 설치하고 나면 이제 소각량을 채우는 것이 목표가 될 수밖에 없다”고 일축했다.

같은 사례 두고도 주장 엇갈려

현재 제1기 소각로 용량은 200톤이다. 현재 1일 평균 180톤을 처리하고 있으며 전처리 시설은 따로 없다. 윤 의원은 구미 사례를 대안으로 설명하고 있다. 구미시는 250톤의 소각로를 설치하는 대신에 200톤으로 축소하고, 8억원을 들여 20톤을 처리할 수 있는 전처리 시설을 확보했다. 그런데 같은 구미사례를 두고도 윤 의원과 집행부의 생각은 다르다.

시는 윤 의원의 5분 발언에 대해 즉각 반박 보도 자료를 냈다. 허원욱 청소행정과장은 “구미시는 실패사례다. 구미시는 현재 잘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가연성 쓰레기 150톤 가운데 20~30톤의 쓰레기에서만 재활용품 선별이 가능하다. 소각로 규모 50톤을 줄이는 대신 전처리 시설을 통해 재활용품을 걸러내 효율을 30%올리려고 했지만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구미시가 재활용품을 걸러내고 자원화하기 위해 전처리 시설을 설치한 점을 주목해야 한다. 효율이 나오지 않는 것은 전처리 시설 자체가 협소하기 때문이다. 전체 쓰레기를 태우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처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청주시에서 전화가 너무 많이 걸려 온다. 청주시가 구상하는 것은 200억 원 정도는 들어가야 한다. 구미시는 8억원을 투자해 ‘간이 형식’으로 지었다. 쓰레기를 소각장에 넣는 횟수가 하루에 8~9회라면 남는 시간에 1~2회 가동한다. 육안으로 재활용 쓰레기를 선별해 전처리 시설에 넣고, 기계적으로 불연성 쓰레기와 금속류, 페트병 종류만 선별하고 있다. 겨울철에는 연탄재 쓰레기를 걸러내기 위해 많이 가동하지만 지금은 쉬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 “전처리 시설 성공사례 없다”

허 과장은 “구미시뿐만 아니라 서울 A구청도 막대한 예산을 들여 대규모 전처리시설을 갖췄지만 현재 가동을 중지했다. 성공한 사례가 없다. 3년 전 환경부도 제2기 소각로 건설 예산을 따올 때 전처리 시설을 150억원을 들여 추진하라고 권유했다. 전처리 시설을 통해 50~60%를 걸러내면 현재 있는 제1기 소각로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청주시의 발전가능성을 봤을 때 200톤 규모를 확보해야 한다. 수차례 방문해 국비를 따왔다”고 강조했다. 청주시는 지난 24일 구미시를 방문했고, 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는 오는 11월 2일 방문할 예정이다.

과연 청주시가 제2기 소각로 200톤을 채울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허 과장은 “현재 소각 가능한 생활쓰레기 100톤 이상을 위탁 처리 및 매립하고 있다. 대형폐기물 20톤, 청원군 가연성 쓰레기 30톤, 산업단지내 생활계 폐기물 70톤 등을 소각장에서 소화하면 된다. 특히 대형 폐기물은 위탁 처리하는 데 연간 14억원이 들어가기 때문에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오창과학단지, 오송의료과학단지, 오송역세권 개발 등 지역 발전의 잠재력과 천재지변이나 고장으로 인해 쓰레기 대란이 일어났을 경우 예비시설로서도 필요하다는 것.

그러나 대형폐기물 20톤을 민간업체에서 위탁처리 하는 것 외에 나머지 데이터는 모두 예상치일뿐이다. 이를 두고 쓰레기 수거 업체 대표 A씨는 “논의의 관점이 구미시가 성공했냐 안 했냐, 100톤이냐 200톤이냐로 흘러가서는 안 된다. 데이터는 가변적이다. 쓰레기 정책 전반을 들여다봐야 한다. 한명의 배출원이 발생하는 쓰레기를 시가 종합적으로 책임지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현재는 전기전자 폐기물인 생활계 쓰레기를 시민이 시나 구청에 신고하고 돈을 내고 버린다. 그러면 시가 위탁업체에 넘겨 일정정도가 되면 매립하거나 폐기한다. 위탁이 아닌 시가 수거해 자원화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소각로를 가동하고 있는 전문가 B씨는 “주장에 모두 허점이 있다. 다만 200톤을 건립하는 것은 무리다. 전처리 시설을 갖춘 100톤 규모 시설로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2기가 건립되는 2014년에는 1기 소각로를 6개월 정도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 보일러 수관 및 소각로 내화물을 수리해야 하는 데 그 기간 대체 시설이 없다”며 “현재 청주시의 1기 소각로는 여름철에는 200톤 규모가 돼지만 겨울철에는 140톤 정도밖에 안 된다. 소각로는 70%이하(140톤)가 되면 효율이 떨어진다. 이런 상황에서 200톤을 또 지으면 1기만 가동될 우려도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전처리 시설에서 철금속류 등 잡철을 걸려내면 소각로 효율도 높일 수 있다. 필요 없는 부피와 열을 빼앗지 않기 때문에 스크린(전처리)을 하면 효율이 높아진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대전시만 해도 쓰레기 50%감소를 주요 정책으로 내놓고 있는 데 청주시는 ‘녹색수도 청주’ 슬로건만 걸었지 쓰레기 정책이 부재하다. 쓰레기를 줄이려는 생각 대신에 일단 쓰레기를 최대한 많이 모으자는 발상이 말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한편 오는 26일 2기 소각로 기본설계의 최종심사가 예정돼 있어 553억원 공사를 누가 따낼지도 관심이 쏠린다. 1기 소각로를 건설한 GS건설과 삼성물산이 경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