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수급 원활하나 이직률 높아
“아웃소싱 통해 고용불안 완전 해소 돼야”

근로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협력 업체(아웃소싱(out sourcing), 용역의 광의로 사용되기도 한다)의 경우 인력 수급이 원활한 것으로 알려졌다. 3D 업종(dangerous, dirty, difficult) 기피 현상으로 전문직이나 사무직 등의 인력은 넘쳐 나는데 반해 제조업·광업·건축업 등의 분야의 인력 부족 현상은 좀처럼 완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주로 생산라인 도급을 위주로 하고 있는 협력 업체에 따르면 인원 모집이 용이하다는 것. 이렇게 인원 모집이 원활한데 반해 현장에 투입된 젊은 층 즉, 20∼30대의 경우 이직률이 높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아웃소싱 업체는 1980년대 말 노사간 홍역을 치룬 후 1990년 대 초 인력대행을 하는 용역 업체에서 시작해 현재는 대기업을 비롯한 중소기업에서 전분야에 걸쳐 실행하고 있다. 협력 업체의 주업무는 인재파견으로 그 외에도 생산도급, 인재파견, 위탁관리 대행, 청소대행운송이나 물류 대행을 하고 있다. 충북에만 인력 공급 및 관리를 담당하는 업체만 400여개로 생산관련 업무에 투입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평생 직장 개념 없어져”
도내 H업체 안지현(가명·청주시 모충동)씨의 말에 따르면 주로 생산 관련 회사와 업무 위탁 계약을 맺는다는 것이다. “용역으로 시작한 아웃소싱 업계는 주로 인력 도급 업무를 취급하고 있다. 물론 기술을 요하거나 자격증을 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주 취급 업무는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생산라인이다. 몇 년 전처럼 3D업종은 곧 생산현장이다라는 고정관념에서 많이 벗어났으나 생산관련업무를 기피하는 현상은 아직 남아있다.”

업무 위탁 계약을 맺은 회사에 근로자를 파견하기 위해 연중 구인광고를 내고 있는 대부분의 협력 업체는 인력 모집에 있어서는 별 어려움이 없다는 것. “경기 침체의 영향인지 인력 파견을 하는데는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이직률이 60∼70%로 높은 편이다. 이는 젊은 층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진 지금 직장을 다니면서도 이직을 생각한다. 회사측에서도 6개월만 잘 다녀라하는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U업체도 마찬가지다. “광고비 지출만큼 인력은 바로 충원 가능하다. 그러나 1년을 넘기기 힘들다. 1년 이상을 근속자로 우대할 정도다. 업체나 업무에 따라 평균 연령에 차이가 있으나 40대나 50대의 경우는 거의 1년 이상은 근무한다. 그러나 젊은 층은 아르바이트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U업체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협력업체도 ‘우후죽순 격’으로 많이 생겨 구직자에 대한 차별화된 대우나 관리가 필요하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협력업체는 용역업체와는 달리 인원도급을 하고 수수료만 받는 단순 위탁이 아니다. 충북개발연구원 노근호 박사는 협력업체의 발전 가능성을 예견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단순한 인력을 파견하는 것 뿐 아니라 경영학적으로 발전한 전분야를 가리킨다. 대기업의 경우 핵심부서와 인력만 남기고 그 외는 아웃소싱업체에 위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주요기술개발 분야만 집중 육성하고 그 외의 생산을 외부로 돌리면서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노 박사는 노사관계의 불안정으로 긴밀한 네트워크(network)와 외국의 모범사례를 바탕으로 더욱 폭넓은 분야에서 아웃소싱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 투자의 걸림돌인 인력 수급 문제가 아웃소싱을 통해 잘 이뤄진다면 협력 업체는 발전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는 사무직도 외주업체에 위탁함으로써 기업은 핵심 분야에만 집중할 수 있다.”

근무 환경 개선돼야
현재 도내 협력 업체는 늘어나고 있는데 반해 생산현장은 소폭 줄고 있다. 즉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 위탁을 맡긴 회사는 임금은 동결하면서 근로자 선택에고 있어 눈 높이를 한 단계 높이고 있다. 생산직 근로자 부족으로 인원만 충원되기를 바라던 좋은 시기(?)는 이미 물 건너갔다는 것이 D업체의 설명이다. “위탁을 맡긴 회사는 임금을 올려주지 않고 근로자들의 근속 근무를 위해서는 적정한 임금 인상을 해줘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협력 업체도 많이 생기는데 회사의 좋은 이미지를 위해서 임금 인상이나 상여금 지급은 필수다.”

위탁을 맡고 있는 회사만 50여개, 파견 근로자만 700∼800명인 D업체는 인력 도급을 계약하고 있는 회사의 근무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이렇게 근무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데도 구직자들이 많이 몰리는 것을 보면 경기침체를 피부를 느낀다. 구직자들의 눈 높이가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외면하던 생산현장에 이력서를 내미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다만 안타까운 점은 근속 근무자가 줄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젊은 층일수록 더욱 심각하다.”

협력 업체가 늘어나 도내 기업은 인력 문제가 해소됐으나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다는 지적도 있다. 충북개발연구원 노 박사는 “적정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비정규직이 늘어 고용불안을 낳았다. 위탁을 맡긴 회사나 공급업체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적정선이 유지돼야 한다. 비용절감과 인력 배치만을 앞세운다면 원만한 관계 형성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