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환경부, 침출수 시료채취 위치·분석방법에 ‘이견’… 주민 불안 가중

진천군 등 전국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 유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충북도와 진천군의 폐쇄적 행정에 대한 시민단체의 불만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또한 침출수 판단을 위한 분석방법을 놓고 시민단체와 환경부가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며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사)시민환경연구소는 가축사체유래물질(NRN) 분석기법을, 환경부는 아미노산, mtDNA 분석방법을 택하고 유출 논란을 빚고 있다. 시민환경연구소는 가축사체 침출수가 유출되었다는 주장이고 환경부는 그렇지 않다는 반박이다.

▲ 지난 17일 진천군 문백면 옥성리 한 매몰지에서 사체를 옮길 액비저장탱크 설치 공사를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21일 진천군은 침출수 유출 논란을 빚고 있는 매몰지 4곳 인근에 액비저장탱크를 설치하고 부패중인 사체를 모두 옮겼다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에 대해 군 관계자는 “침출수가 유출되었기 때문에 이설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단체 등에서 지속적인 민원을 제기해 대내외적으로 불안감이 증폭돼 이를 해소하려는 방책”이라고 강조했다.

진천군의 구제역 매몰지가 침출수 논란과 함께 옮겨진 것은 이번 이월면 사곡리 1곳, 문백면 옥성리 2곳, 광혜원면 1곳 등 4곳이지만 지난 4월23일 경 인근 축분처리장으로 옮겨진 문백면 도하리까지 합쳐 모두 5곳이다.

사체 옮기고 공동조사 불응

200㎘ 용량의 대형 액비저장탱크에 옮겨진 매몰 사체에는 발효제를 투입해 단기간에 부패 처리하게 된다는 게 도 관계자의 말이다. 이후 저장탱크는 향후 일어날 구제역 또는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사체 등을 처리하는 데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도 밝혔다.

하지만 오경석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은 “이미 NRN 분석기법을 통해 침출수 유출이 확인됐다”고 단정하고 “충북도와 진천군은 우리가 제안한 공동조사에 응하지도 않고 상세한 매몰지 내역 등을 공개하지 않는 등 폐쇄적 행정을 하고 있다”고 강한 불만을 제기하며 이미 2차 오염된 토양과 지하수에 대한 대책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 2일 충북도 구제역매몰지 시민조사단은, (사)시민환경연구소가 진천지역 구제역 매몰지 인근 3곳의 시료를 5월18일 채취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월면 사곡리 도랑물에서 가축사체유래물질이 15.01㎎/ℓ, 암모니아성질소 39.42㎎/ℓ, 염소이온 13.65㎎/ℓ, 질산성질소 0.05㎎/ℓ이 검출됐다. 또 문백면 옥성리 매몰지 인근 계곡물에서는 가축사체유래물질과 암모니아성질소, 염소이온이 각각 7.26㎎/ℓ, 26.92㎎/ℓ, 염소이온 30.25㎎/ℓ가 검출되었고 같은 옥성리 또 다른 매몰지 인근 논물에서도 1.31㎎/ℓ, 6.22㎎/ℓ, 13.63㎎/ℓ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충북도 매몰지 관리 T/F팀 관계자는 20일 “시민환경연구소가 발표한 결과에 대해서는 분석방법이 인증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하고 “중앙정부에서 통일된 검사기준이 마련된 것이 없지만 지금까지 자체 조사한 결과 침출수가 유출되었다고 볼만한 변화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공동조사에 응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하지만 환경부는 이미 6월3일 보도자료에서 아미노산, mtDNA 분석방법을 제시하면서 지난달 30일 충북 진천, 경기 포천·안성 매몰지에 대한 검사에서 침출수 유출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통일된 검사기준이 없다고 충북도 관계자가 말한 것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부의 매몰지 관리 체계가 허술하다는 점을 자인한 것이라는 반응이다.

상세한 매몰내 내역도 미공개

또 한가지 논란은 시료채취 위치의 적정성이다. 환경부는 같은 보도에서 시민환경연구소는 매몰지 침출수 유출 여부 파악을 위해 매몰지 경계부의 관측정, 주변 하천 등을 조사한 반면 환경부는 주민들의 먹는 물 안전대책으로 매몰지 주변 300m 이내 이용 중인 지하수 관정(음용, 비음용)에 대해 조사를 벌였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진천지역의 경우 시민환경연구소가 주변 도랑물과 계곡물 또는 논물을 채취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여전히 환경부와 시민단체의 시료채취 위치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구제역 침출수 논란은 쉽게 종식되기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폭우를 앞두고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충북도와 진천군이 시민단체에 투명한 행정처리를 보여주고 처리 과정에 동참하게 하는 것이 낫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액비저장탱크에 드는 비용은 1곳 당 통 값과 이설 비용 등을 합쳐 3800여 만 원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