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기자 협회장 서 재 정 씨
충북기자협회 협회보인 ‘바다없는 마을’은 지난 1일자(제3호)에서 ‘지역 언론사 기자들의 업무 및 생활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상세히 보도하여 관심을 끌었다. 특히 관심을 끈 것은 설문 결과보다 설문 항목이며, 이를 여과 없이 보도함으로써 내부 또는 기자 자신들 스스로 치부까지 드러내면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사회 문제화 했다는 사실이다. 설문 결과는 충격적이다. 국민 기초생활보장 대상에 이르는 연봉 1천만원 미만인 기자가 전체의 28%에 달하며 생활이 않돼 직장을 옮길 생각이 있다는 응답이 58.9%로 나타났다.
또한 기자는 특종 경쟁보다 회사의 광고수주(56.7%), 행사유치(13.5%) 등 회사의 영업 이익을 위해 일한다는 사실도 드러났다.그러면서 이 협회 보도는 “지방언론사의 병폐중 가장 큰 것은 사주들이 언론사를 자신과 자신의 사업 방패막이로 이용할 뿐 언론 자체에 대한 인식이나 투자가 거의 없다는 것”이라고 일갈하고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기자들과 언론사 종사자중 상당수는 저 임금과 노동력 착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지방언론사가 언제부터인가 지역 사회의 골치덩어리로 취급을 당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어찌보면 이는 기자로서 최소한의 자존심 문제일수 있다. 그렇지만 그 속에는 기자 스스로 이제 더 이상 내 몰릴 수 없는 벼랑에 섰다는 위기 의식을 바탕으로 언론 자체의 문제를 언론 내부에서 ‘사회 공론의 장’으로 표출시켜 문제 해결을 꾀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충북기자협회 서재정 회장으로부터 설문배경과 위기에 처한 지방언론사 문제의 처방 등에대해 물었다.
“기자들의 치부 운운할 문제가 아니다. 기자 사명감만 가지고 얘기하려 든다면 말문이 막히겠지만 사명감 이전에 생존의 문제다. 최소한 국민기초생활은 보장되어야 사명감도 싹틀게 아닌가.”
지방 신문 기자들의 실태가 어떠한지는 어느 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설문 결과를 본 결과 “한마디로 참혹, 참담했다”는 서회장의 견해는 시대에 따른 직업적 기자와 志士的 기자론으로 이어졌다.
“일제 시대 언론인들은 독립투쟁하는 심정으로 기자적 사명감에서 일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 잣대를 이 시대에 그대로 들이댈 수는 없다. 사명감 이전에 직업인으로서 기초생활은 보장되어야 한다.”
그렇더라도 너무 나간 것은 아니냐고 물어보았다. 또한 ‘바다없는 마을’ 발행이후 반응도 궁금했다.
“이런 상황을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었다. 다만 이를 밖으로 표출해내는 것이 두려웠을 뿐이다. 기자들이 IMF사태 이후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이 4년여 지나오면서 이제는 더 이상 버틸수 없는 한계에 다다른 것이다. 기자 자존심과 관련된 문제에 접근한다는 것이 부담스럽기도 했고 실제 일부에서는 굳이 공개적으로 이렇게까지 나올 필요가 있었겠느냐는 비판도 있다. 그렇지만 언제까지 덮어두고 갈 수 있는 일도 아니다. 공론화시키는게 해결실마리를 쉽게 찾을수 있고 해결책도 빨리 올수 있다는 생각이다.”

-지방 신문이 이렇게 어려움에 처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뚜렷한 언론관도 없이 무분별하게 창간함으로써 매체수가 증가한 것이 문제다. 확고한 언론관을 바탕으로 하지 않은데다시장 능력 등이 고려되지 않은 채 자신 또는 자기 사업의 방패 막이를 위한 방편으로 만들었다는데 문제가 있다. 언론 환경이 어렵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근본적으로 투자가 미흡한데 따른 문제라는 것을 모두가 느끼고 있다.”

-지방언론사 수(數)의 적정성에 대한 설문 항목도 있었는데.
“설문 결과 대개 신문사는 2개가 적당하다는 대답이 압도적이었으며, TV는 2개 또는 3개가 적당하다는 응답이 절반씩이었다. 충북이라는 언론 시장에 비추어 현재 너무 많은 언론사가 난립하고 있다는데에 대개가 공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언론사 난립 문제에 대한 인위적 개편 논의는 거론 할 수 없지만 향후 자연스럽게 정리되어 갈 것으로 본다.”

-기자들이 국민기초생활대상에 처할 만큼 열악한 처우와 회사 수익사업에 내몰리는 등 ‘사회의 목탁’이 벼랑 끝에 섰다는 결론에 도달했는데 해결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사주한테 책임을 전적으로 떠 맡길 수 만은 없다. 전국적인 상황으로 쉽게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시장의 힘에 의한 자연스런 정리 등 시간에 의한 해결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무엇보다 지역 언론인들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 먼저 자사 이기주의를 버리고 언론인들이 단합하여 해결책을 모색하는게 최선이다.”
이와 관련 서회장은 지역 전 현직 중견 언론인들의 모임인 가칭 ‘상당클럽’ 창립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의 관훈 클럽과 같은 중견 언론인들이 친목도 도모하고 지역 사회 문제도 심도있게 논의하는 범 언론인 모임이 될 것이다”며 서로 얼굴을 맞대고 논의하다 보면 지역 언론 발전 방안이 도출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회장은 언제나 논의 단계에 그쳤던 충북기자협회보를 창간한데 이어 언론인 모임인 상당 클럽을 준비하는 등 가장 역동적인 활동을 하는 충북기자협회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중앙대 예대 사진학과 출신으로 일찌감치 사진기자로 진로를 정해 지난 87년 졸업과 동시에 KBS에 입사한 뒤 지난 97년 CJB 개국과 함께 자리를 옮긴 그는 다시 한번 ‘더불어 사는 언론인 상’을 강조한다.
“매체없는 기자가 있을수 없고, 기자없는 언론 사주가 있을 수 없는 것 아닌가.” “모두 언론인의 사명감으로 더불어 살아갈수 있는길을 언론인 스스로 찾아야 한다”는 그의 지론은 오늘도 기자협회를 위해 뛰게 하는 힘인것 같았다.
/ 민경명기자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