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비대위 '포항 홍보성 기사, 언론 공익성 포기' 비판

<충북민언련>과학벨트 대선공약 이행 범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늘 충북도청 본관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형님벨트 앞장서는 조선일보 절독 선언과 절독 동참을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조선일보가 포항의 과학벨트 유치 당위성에 대한 홍보성 기사를 게재했다며, 이는 언론의 공익성을 스스로 포기한 것이라 비판하고 조선일보 절독을 선언했다. 대책위는 앞으로 조선일보뿐만 아니라 다른 신문들도 과학벨트를 제대로 보도하지 않는다면 절독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조선,중앙, 동아일보가 보도한 과학벨트 관련 보도를 대전충남민언련에서 모니터하고 그결과를 발표했다. 다음은 모니터 보고서 전문이다.

지난 2월 1일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벨트 공약한적 없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공약 백지화 논란에 이어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과학벨트 분산배치 논란이 이어지면서 전국 지자체가 과학벨트 유치에 사활을 건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과학벨트 입지 선정작업을 벌이고 있는 정부는 53개 지역을 1차 후보지역으로 압축했다는 보도도 이어졌다.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와 맞물려 충청권을 비롯한 각 지역이 과학벨트 유치 경쟁이란 블랙홀에 빠져들고 있는 상황을 조선, 중앙, 동아일보는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지난 22일 ‘과학벨트 포항적지’를 주장하는 별지의 특별판을 선보인 조선일보의 보도를 계기로 조선, 중앙, 동아일보의 보도를 살펴봤다. 논란이 촉발된 지난 2월 1일 대통령의 신년 특별기자회견 이후 과학벨트 논란에 대한 조중동 3사의 보도는 조선일보가 72건을 보도해 가장 많았고, 동아일보 69건, 중앙일보 58건을 보도해 가장 적었다.(각 신문 홈페이지 검색창에 ‘과학벨트’ 키워드로 검색)

충청 지역언론이 과학벨트 논란과 관련 매일 적게는 2~3건 많게는 5~6건의 보도를 내놓고 있는 것에 비해 중앙 일간지 3사의 보도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란이 촉발되기 시작한 2월 1일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 직후 과학벨트 원점 재검토 방침에 대한 충청권의 반발에 초점이 맞춰졌다. 반면 3월 말 영남권 신공항 건설 사업이 백지화 이후에는 분산배치론과 관련된 논란에 초점을 맞췄다. ‘분산배치’ 논란 속에서 불거져 나왔던 형님벨트(포항 입지설) 논란이나, 4월 초 이명박 대통령과 대구, 경북 자치단체장의 비밀 회동 등과 관련해서는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과학벨트 논란, 원칙대로 처리 강조…입지관련 모호한 입장 취해

2월 1일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 이후 과학벨트 재검토 논란이 불거진데 대해 이들 신문은 일제히 과학벨트 논란이 재 점화 됐다는데 초점을 맞춰 보도했다. 특히 3월까지 충청권의 반발 및 과학벨트 논란을 통해 불거진 지역 갈등문제를 집중 부각시켰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지역 갈등문제와 이를 촉발 시킨 정치권의 공약 남발을 문제 삼는 보도도 이어졌다.

과학벨트 ‘분산배치’ 논란에 대해 조선, 중앙, 동아일보 3사는 원칙적으로는 ‘분산배치’ 반대를 주장했다. 특히 이들 신문은 ‘분산배치’가 과학벨트의 기본 취지를 훼손한다며 ‘분산배치’를 반대했다. 그러면서 과학벨트 입지 선정은 과학계에 맡겨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당초 과학벨트 공약의 핵심이었던 충청권 설치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정부가 ‘기초연+중이온가속기’ 통합 설치 및 분원 배치입장으로 방침을 정한 이후에는 정부안을 지지하는 보도 태도를 취하고 있다.

조선일보의 경우 4월 7일자 사설 <지역 民心 수습용 과학벨트 쪼개기는 나라 망친다>를 통해 분산배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뒤이어 <과학벨트 분산(중이온가속기·기초과학원을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하는 안)은 법적으로 불가능... 문제는 기초과학원 分院>(4월 8일) 등의 보도를 통해 기초연과 중이온가속기를 통합 배치한다는 정부 입장을 보도했다.

중앙일보의 경우 <과학벨트, 과학자들 목소리 경청하라>(2월10일), <민동필 “과학벨트 갈기갈기 찢는 솔로몬 재판 될까 두렵다”>(2월 9일), <정치 논리로 꼬인 과학벨트 … 한국형 모델 찾는 게 급선무>(4월 7일), <과학벨트 입지, 과학자에게 일임해야>(4월 8일) 등 분산배치의 문제를 지적하는 보도를 내보냈다.

동아일보의 경우는 <과학벨트 산파역들 “정치권 다툼에 누더기 우려” 개탄>(2월 7일), <과학벨트는 지역정치벨트 아니다>(2월 22일) 등을 통해 분산배치에 대한 과학계의 우려를 보도했다.

그러나 중앙지 3사의 이 같은 보도는 전체 보도 중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대부분의 보도는 정치권의 공방에 치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입지 평가와 관련해서도 그 동안 충청권이 주장해온 충청권 입지 타당성과 관련된 보도는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대전충남북 발전연구원이 공동으로 진행한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타당성 연구’를 보도한 <“과학벨트 입지조건 충청권이 최고”>(조선일보, 2월23일자) 정도만 눈에 띤다.

한편으로는 과학벨트 유치에 사활을 건 자치단체 및 지역 정치권을 비판하는 보도도 이어졌다.

조선일보는 <과학벨트 '핌피'(PIMFY)… 통제 불능 상태>(2월 10일)라는 보도를 통해 과학벨트 논란 등과 관련 “여야 구분 없이 지역별로 뭉쳐 '내 고장에 수혜시설을 적극 유치'하려는 이른바 '핌피'(PIMFY) 현상으로 지역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것이다”라며 최근 국책사업 지역 유치 경쟁의 문제를 꼬집었다.

충청권 내 유치 경쟁을 부각시킨 보도도 눈에 띤다. 중앙일보는 3월 8일자 <국제과학벨트 용역결과 천안 최적지 다시 확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릴레이 인터뷰-김학민 순천향대 교수>(3월 15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릴레이 인터뷰-한군희 백석대 교수>(3월 18일) 등의 보도를 통해 천안권의 유치 움직임을 보도했다. 조선일보 역시 <천안 과학벨트 ‘나대로’ 3개 시·도 공조 파열음>(4월 22일) 보도를 통해 충청권의 과학벨트 유치 움직임에 천안이 독자 활동에 나선 사실을 부각시켰다.

조선일보, 과학벨트 유치전 이용해 지면장사하나

문제는 조선일보의 최근 보도 행태에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 4월 22일 별지 특집판을 선보이면서 과학벨트 분산배치 논란의 핵심 지역인 포항 띄우기에 나섰다.

조선일보는 이날 [첨단과학도시 포항]이라는 타이틀로 <우수 인력+탄탄한 연구기반+정주 여건 ‘3박자’ 모두 갖춰>(4월 22일자), <“인프라·인재 풍부해 기초과학 연구 최적지”>, <동해 넘어 세계로 뻗는다> 등의 보도를 통해 과학벨트 입지 최적지로 포항을 기정사실화 해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이 과정에서 과학벨트 유치를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 지역 자치단체들의 경쟁을 이용해 지면 장사에 나선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들게 한다. 문제가 된 포항 특집 지면이 포항시의 광고비 집행과 함께 진행된 홍보판으로 제작됐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일보는 충청권 일부 지자체에게도 과학벨트 특집 제안과 함께 거액의 홍보비를 요구한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조선일보의 이 같은 제안이 사실이라면 조선일보가 과학벨트 논란을 이용해 돈벌이에 나선 것으로 밖에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과학벨트를 비롯해 국책사업 추진 과정에서 객관적인 평가가 아닌 정치적 고려에 의한 사업 추진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는 문제 제기가 많은 상황 속에서 국내 유력 신문인 조선일보가 사안에 대한 공정한 평가나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지는 않은 채 특정지역 편향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나 다름없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같은 홍보성 특집 보도를 통해 지면 장사에 나선 것은 언론으로서 최소한의 도덕적 소명의식 조차 포기한 것으로밖에 판단되질 않는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