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봉기 이후 군대해산과 동시에 성벽처리법령 공포
유인석 충주읍성 점령이 계기, 청주읍성도 같은 맥락

나경준씨 2004년 논문 주목

▲ 대한제국을 집어삼키려던 일제에게 있어 우리의 읍성은 무장을 의미했다. 사진은 유인석 의병이 점령했던 충주읍성 모습. 1908년 <대한제국의 비극> 1920년 <한국의 독립운동>을 저술한 영국 데일리메일 기자 F.A 맥켄지가 찍은 사진이다. 성루는 타고 석축만 남았다. 아래 사진은 이번에 청주에서 발굴된 일제강점기 하수구의 성돌이다. 일본은 의병의 거점이 될 수 있는 성벽을 허물어 이렇게 하수구를 만드는데 썼다. 우리로서는 치욕스런 재활용이다.
청주시 남문로 남궁타워 신축공사 현장에서 통일신라시대 ‘서원경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에서부터 조선시대 청주읍성 잔재까지 누대에 걸친 30여점의 유물이 한꺼번에 출토돼 비상한 관심을 모으는 가운데, 일제가 우리나라의 읍성을 대대적으로 훼철(毁撤·헐어서 치워버림)한 사유에 대해 관심이 상기(想起)되고 있다.

3월31일 충북문화재연구원에 의해 현장에서 발굴된 유물은 통일신라시대를 짐작케 하는 ‘城(성), 官(관), 大中三(대중삼)’ 등의 명문이 있는 기와조각과 ‘丙辰(병진) 四月(사월) 日(일) 畢役(필역)’ 등이 새겨진 조선시대 읍성 성돌, 우물 등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문왕 9년(689) 윤 9월26일에 신문왕이 장산성에 행차하고 서원경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또 조선세종실록에는 ‘청주읍성은 석축이고 둘레가 1084보, 성안에 우물 13개가 있어 사철 마르지 않는다’고 기록돼 있다. 

조사를 담당하고 있는 노병식 충북문화재연구원 학예연구실장은 “조선시대 읍성 터 안에서 城(성), 官(관), 大中三(대중삼) 등 통일신라시대 서원경성 관련 유물이 나왔다는 것은 이 터가 통일신라시대 서원경성에서 고려시대 청주성으로, 또 조선시대 읍성으로 이어졌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노 실장은 “기와조각에 남아있는 大中三은 문성왕 11년(849)을 나타내는 연호의 일부다. 흥덕사지에서는 大中三年이라는 연호 전부가 남아있는 기와조각이 발견되기도 했다. 따라서 통일신라의 유물이라는 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城이나 官이라는 명문도 발견된 자리에 관청이 있었다는 증거이므로 서원경성과 관련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의병 충주점령에 日 충격
  
노 실장은 서원경성의 입증도 중요하지만 성돌을 이용해 쌓은 일제강점기 하수구가 발견된 것에 대해서도 이에 못지않은 의미를 부여했다. “병진년 4월에 일을 끝냈다는 의미의 丙辰 四月 日 畢役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성돌로 쌓은 하수로가 발견됨에 따라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본이 하수도정비사업 명목으로, 조선시대 읍성을 강제로 허문 증거”라는 것이다.

노 실장은 그러나 그 이면에는 “의병의 봉기, 그 중에서도 1895년 제천에서 봉기해 1년 뒤 충주읍성을 점령한 유인석 의병을 필두로 1909년까지 끈질기게 일제를 괴롭힌 충북 북부지역 의병의 활동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귀띔했다. 하수구를 만들기 위해 성을 허문 것이 아니라 일부러 성을 허물어 하수구를 조성했다는 것이다.   

일제는 1910년을 전후해 불규칙한 시의 구역을 바로잡는다는 이른바 시구개정(市區改正)사업을 통해 도시읍성을 대대적으로 철거했는데 이는 1895년 을미의병(乙未義兵)으로부터 1905년 을사의병(乙巳義兵), 1907년 정미의병(丁未義兵)으로 이어지는 대대적인 봉기가 원인이 됐다는 주장이다.

노 실장의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문은 충주지역 향토사학회인 예성문화연구회가 발간한 예성문화 24호(2004년)에 실렸다. 저자는 현재 청주시청 문화관광과에 근무하는 나경준 학예연구사다. 나경준 연구사는 <충주읍성 훼철 연구>라는 논문에서 일제가 전국의 읍성을 훼철하고, 지금의 도청인 관찰부를 충주에서 청주로 옮긴 이유가 유인석을 비롯한 제천과 충주의병의 활약에 크게 놀란데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 연구사는 1895년에 봉기해 제천에 본진을 둔 의병들이 1896년 친일 단양군수, 청풍군수를 체포해 참형하고 그해 3월 3도의 거점도시인 충주부를 공격해 읍성을 점령한 뒤 3개월이 넘도록 항쟁을 계속했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후 유인석은 만주로 갔지만 군대해산에 따른 백남규 의병진 등이 계속해서 제천·충주를 근거지로 1909년까지 활약했다는 것이다.   
 
성벽처리 내각령 등 문서 존재

나 연구사의 논거는 친일내각의 문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토 히로부미와 이완용의 명의로 1907년 7월24일 정미7조약이 체결된 지 불과 6일 만인 30일 ‘내각령제1호 성벽처리위원회에 관한 건’이 제정, 공포되고 이를 근거로 전국의 읍성들이 훼철되는데, 성벽 법령이 제정된 이튿날 ‘조칙(詔勅) 군대해산에 관한 건’이 잇달아 제정된 것이다.

나 연구사는 “대한제국을 병합하고자 했던 일제는 먼저 구한국이 보유한 무장을 해제해야만 했는데 군대와 병영을 해체하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성벽파훼와 군대해산을 위한 법령을 제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제천과 충주의병이 이 같은 법령의 제정과 관찰부를 옮기는 데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근거는 무엇일까? 나 연구사는 이에 대해 “의병이 당시의 도청소재지인 관찰부의 읍성을 장기간 점령한 것은 일제를 긴장케 만들었다. 더구나 당시의 충주는 남한강이 서울과 연결되는 가장 신속한 교통수단이었다. 서울에서 대규모 병력이 파견되는 데는 사나흘 이상이 걸렸다. 여기에다 산과 남한강 등으로 둘러싸인 천연의 요새였다. 이에 반해 청주는 조치원에 경부선 철도가 가설돼 하루면 군대를 증파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부를 청주로 이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일제는 1908년 5월25일자로 관찰부를 청주로 이전한다. 이는 내각총리대신 이완용과 내부대신 임선준 명의로 발표된 칙령 제30호에 따른 것이다. 이 칙령은 ‘관찰부 가운데 충주를 청주로, 영변을 의주로 개정한다’고 밝히고 있다. 모두 일제가 놓은 철도와 연접한 곳으로 관찰부를 옮긴 것이다. 일제는 제천·충주의병의 기세에 눌려 성벽을 허물고, 군대의 증파가 용이한 지점으로 통치의 중심을 옮긴 셈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