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희 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

시장에서 상품 점유율이 채 1%가 되지 않는다면, 그 상품은 어떻게 될까? 없어지는 게 정답이다. 고민할 필요가 없다. 제정신이 아니고서야 이윤을 내지 못하는 상품을 계속 만들 이유는 없다. 이 상품이 ‘신문’이라면 어떨까. 지역신문을 집에서 구독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별로 없다. 각종 조사 발표 수치가 이를 말해준다.

2006년 지역신문발전위원회에서 전국 지역신문 구독률을 조사해 발표했다. 참담했다. 충북지역신문 평균 구독률은 2.3%였다. 지난해 11월 한국ABC 부수공사는 2009년 7월부터 12월까지 발행부수와 월별 평균부수를 산출해 발표했다. 도내 일간지들의 평균 발행부수는 9339부였다. 2010년 인구조사 잠정 집계 결과를 보면 충북인구가 150만4000명, 가구 수는 55만6000가구다. 이 비율로 계산해본다면 1.7% 정도가 신문을 본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신문은 대전·충남지역까지 발행되는 부수니 실제 부수는 더 적다. 가장 많이 발행된다는 신문이 1만3000부, 유가 부수는 그보다 더 낮을 것이다. 겨우 6500부 정도인 신문들은 말 그대로 관계기관만 보면 된다고 생각하면 맞을 것이다.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정말 신문사가 망하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것이 신기할 지경이다. 시장 논리로만 설명할 수 없다.

집집마다 지역신문을 본다면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아니 충북지역 55만6000가구 중에서 5만 가구만 신문을 본다고 가정해보자. 이 정도 부수만으로도 신문에 담겨지는 내용이 달라질 것이다. 분명히 신문을 꽉 채운 관급기사는 사라질 것이다. 신문을 실제로 보는 독자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이 담길 것이다. 그러지 않고서는 독자들의 외면을 받을 것이 분명하다. 무엇보다 신문은 지금보다 영향력을 더 갖게 될 것이다.

과거 1도1사 시절을 그리워할 필요가 없다. 신문이 정하는 의제, 신문이 다루는 의제에 대해서 주민들이 관심을 갖게 되고, 논의 과정에 참여도 이루어진다면 민주주의제도의 허점도 보완할 수 있다. 지역의 뉴스, 지역의 정보가 지금 보다 더 많이 유통된다면 우리가 사는 지역은 달라질 수 있다.

지역경제도 살아난다. 신문을 보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광고주는 광고를 할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신문광고를 꺼리던 업체들이나 자영업자들도 신문 광고나 찌라시 광고를 고려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지역 경제에 분명히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많은 신문들이 찾아와 광고를 달라고 하기 때문에 지금은 신문에 광고를 하고 싶어도 광고를 꺼리는 광고주들이 많단다. 그러나 광고주가 원하는 신문에 광고를 할 수 있는 환경만 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광고만이 아니다. 신문이 지역 경제 문제를 제대로 다뤄준다면 지역경제도 지금 같지는 않을 것이다.

이게 정말 현실성이 없는 이야기일까. 방법이 있다. 바로 지역주민을 지역신문 구독자로 만들어내면 된다. 신문을 보지 않는 독자에게 구독료를 지원하는 방법이다. 일정한 조건을 갖춘 신문들을 대상으로 원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일정정도 구독료를 지원해 자신이 원하는 신문을 보게 하는 것이다.

처음엔 지원을 받아 신문을 보게 되지만 점차 신문의 가치와 효용을 느끼게 되는 독자들이 늘어난다면 희망이 있다. 구독료는 어떻게 만들어낼까. 별도의 기금을 마련해도 좋겠지만, 기존에 쓰는 언론홍보예산을 효율적으로 쓴다면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홍보예산을 차등지원하고, 쓸데없이 쓰던 돈으로 구독료를 지원한다면 무리 없이 할 수 있다. 도를 비롯해 각 시군에서는 지역신문에 광고를 하는 것 말고도, 각종 행사를 보조하는 데에 돈을 쓰고 있다. 언론을 대상으로 쓰이는 이런저런 돈만 모아도 꽤 된다고 들었다.

이 예산으로 자치단체와 신문의 관계를 만들어낼 것이 아니라 지역주민들과 지역신문의 관계를 만들어내는 데 쓰는 게 낫다. 공무원의 신문이 아니라 지역주민을 위한 신문을 만들어내게 할 수 있는 현실적 방법이고, 그게 모두가 사는 방법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