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통계작성˙연구의 지방화 절실
충북도˙개발연˙상의˙학계에선 손놓아

앞서 말했듯 학계는 물론 충북도와 충북개발연구원은 물론 상공회의소 한국은행 등 관련 기관에서는 아직도 지역의 자금유출 및 유입을 계량적으로 측정·평가할 수 있는 ‘도구’, 즉 계산식(計算式)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여러 유관 기관 중 한국은행 충북본부가 지난해 자금역외유출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계산방식의 개발을 주요 연구과제로 설정했지만 결국 포기했다. 기초적인 실물경제 통계자료가 워낙 부족한 때문이다. 한국은행 충북본부는 “지역자금순환표 작성이 이뤄져야 자금의 역외 유출(한국은행으로선 화폐발행 초과) 또는 유입을 추정할 수 있는 계산식을 수립할 수 있을 텐데 자료부족으로 부득불 과제를 도중에 제외시켰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한국은행 포기한 것은 아니다.

“돈에는 말 그대로 꼬리표가 붙어있지 않다. 이런 현금의 특성과 함께 동시에 존재를 무시할 수 없는 지하경제거래, 자금유출과 결제간 시차 등 기술적 문제가 많은 것도 난점이었다. 하지만 한국은행 충북본부에서는 향후 지역 자금의 유출 정도를 측정할 기법을 꼭 완성할 생각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은행이 요즘 보이고 있는 새로운 변화는 눈여겨볼 만 하다. “한국은행 직원들은 보통 2년 정도 근무하면 부서나 지역을 떠나게 된다. 순환인사 때문인데… 그렇다 보니 전문가(스페셜리스트) 양성에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었다. 최근 각 시·도 본부에서 지역인재를 처음으로 채용한 것은 이런 문제의식 때문이었다. 충북본부도 충북대 출신 1명을 뽑았는데, 전문교육과정을 거치게 한 후 충북본부에서 사실상 종신 근무케 하면서 지역경제전문가로 양성할 계획이다.”

한국은행은 또 지난해 직원 중에서 지원자를 대상으로 전문연구원을 선발, 충북본부에 배치했는데 이것 또한 처음 시도한 인상정책이었다. 승진에 신경 안 쓰고 준 항구적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실정에 맞는 연구테마를 선정, 단·중·장기 연구에 전념토록 하기 위한 조치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학계는 물론 지방정부 상의 등에서도 지역경제 전문가를 양성하거나 연구의 지역화 노력을 치열하게 경주해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