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충북도·경기도·국토해양부에 수차례 민원”
터미널 관계자 “손익 분기점 보장해주면 가능”

2015년에 진천시가 첫 걸음을 뗄 수 있을지 군민들의 관심이 고조되어 있는 가운데 대중교통 문제가 시급히 해결돼야 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진천읍 내 도로에 대해 일방통행제가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찬반이 엇갈려 대중교통 문제에 대해 관심이 높아져 있다.

이 문제는 지난 6.2지방선거 때에도 후보 간에 논쟁거리였고 지금도 논란 속에 여론조사를 끝내고 군이 결과를 분석하고 있는 중이다.

▲ 시 건설을 주창하는 진천군이 인근 오송·오창을 잇는 시·내외 버스 노선도 없고, 수도권과 인접하고 있다면서 서울직통 노선도 없는 실정이다. 사진은 진천공용터미널 승차장 모습.
게다가 시외 지역을 잇는 대중교통에 대해서도 군민들의 불만과 기대가 존재한 지 오래다. 신 오창이 급속히 발전하고 오송역이 KTX 분기역이 되면서 청주-오송-오창-진천으로 이어지는 버스 노선이 개설되어야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청주에서 오는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는 넘치는데 반해 오송·오창에서 진천으로 오는 시·내외 버스 노선은 없다.

승용차로 20분 내외 소요되는 데 버스노선이 없다보니 출퇴근이나 볼일을 보는 사람들은 대부분 승용차를 이용하거나 시내버스를 갈아타야 한다.

특히 KTX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승용차를 두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여행을 하려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다는 여론이다.

또한 서울을 잇는 직행버스 노선은 경유지가 많아 이용을 꺼리고 있다는 목소리가 많다.
동서울터미널(구의동) 노선은 광혜원, 두원대, 죽산을 거쳐 중부고속도로를 거치고, 남부터미널(서초동) 노선은 광혜원, 두원대, 죽산, 용인양지를 거쳐 영동과 경부고속도로를 운행해 1시간40분에서 2시간 가까이 소요된다는 게 이용객들의 말이다. 동서울터미널 보다 남부터미널 노선이 경유지가 많아 이용객들의 불만이 더 높은 실정이다.

사통팔달의 교통체계는 발전의 단초

군과 터미널 측에서는 이용객들의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 광혜원, 대소를 경유해 안성-진천 간 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 오산-서초 간 버스전용차선을 이용한다면 1시간20분 정도 소요돼 노선 개설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터미널 관계자는 평균 1대당 15명이 승차해 1일 편도 4.5회 운행을 하는 것이 손익 분기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덧붙여서 2대를 투입해 왕복 5회를 운행할 수 있는 이용객이 있다면 노선 신설을 하는데 걸림돌은 없지만 고가의 차량을 투입해 사업성이 담보되지 않는 ‘투기’를 하기는 어렵다고 털어놨다.

이런 현실을 감안한 대안을 찾아내야 한다는 게 이용객들의 주장이다. 고향이 진천이지만 직업과 자녀들의 학업 때문에 가족들과 떨어져 살면서 주말부부로 지낸다는 김모씨의 경우 남부터미널 노선의 직통화가 꼭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는 자신과 같은 처지만을 생각해서가 아니라면서 “진천의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면 사통팔달의 교통체계가 우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군이 예산 지원을 해서라도 노선을 신설하면 가망 이용객이 실제 이용객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며 “아울러 움직이는 진천 광고게시판으로 활용하면 예산 지원액도 줄일 수 있다”고 아이디어를 내놓기도 했다.

발전적 사고의 선제적 교통행정 요구

진천터미널 관계자도 “1회당 15명이 손익분기점이니 그 기준이 못 미치는 부분만 예산 지원해 준다면 노선 개설을 당장 할 수도 있다”고 전하면서 “노선 개설이 업체 간 이견으로 어려운 것이 대부분인데 남부터미널 노선의 경우는 그런 점이 없어 지역 교통업체로서의 역할이 가능한 상태”라고 군과의 원만한 협조체제를 원했다.

군 담당자는 충북도, 경기도, 국토해양부에 서울 직통버스 노선 신설을 바라는 민원을 전하는 공문을 수차례 보냈다면서 “군민들의 여론을 알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문제”임을 인정했다. 하지만 “유류비의 일부는 지원하고 있는 만큼 노선 신설에 대한 여러 가능성을 고민해봐야 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석대학교 설립과 웰빙장터가 준공돼 개장되는 2013년쯤에는 서울직통 노선과 오송·오창 노선이 자연스럽게 신설되겠지만, 시급히 요구하는 여론을 감안하고 발전의 단초적 계기로 활용할 수 있는 선제적 교통행정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