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에 속아 2000만원을 송금할 뻔한 60대 여성이 단양우체국 직원들의 적극적인 제지와 설득으로 피해를 모면했다고 한다. ‘가짜경찰’로부터 “누군가 돈을 빼가려하니 일단 내 통장으로 이체하라”는 전화를 받고 막무가내로 이체하려는 것을 단양 영춘우체국 직원들이 가까스로 말렸다는 것이다. 마지막 확인버튼을 누르기 전에야 제지가 이뤄졌다고 하니 그야말로 어수선했을 상황이 눈에 선하다. ‘진짜경찰’은 여성의 휴대전화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토대로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수사는 쉽지 않을 것이다. 가짜경찰은 전화기도 가짜(대포폰)를 사용했을 게 뻔 하기 때문이다. 청와대가 대포폰이란 용어를 쓰지 말고 차명폰이란 말을 쓰자고 우겼지만 다른 사람의 명의, 즉 차명으로 개통한 전화가 곧 대포폰이다. 백성들의 귀에는 대포폰이 더 익숙하다.

청와대는 차명폰이라고 부르지만

대포폰의 용도는? 기사를 검색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전국은 말할 것도 없고 충북과 대포폰이란 두 단어를 검색어로 인터넷을 뒤지니 지저분한 사건들이 쏟아진다. 몇 달 전 울산경찰이 청주의 한 사무실에서 비아그라, 성인게임, 불법 사채업 등과 관련한 스팸메일 수백만 건을 보낸 일당을 검거했는데 이들도 대포폰을 썼다고 한다.

몇 년 전 충북경찰은 대포폰과 관련해 대규모 비즈니스를 하던 폭력조직을 일망타진했다. 전국의 노숙자들을 모집해 합숙시키면서 대포폰과 대포통장 260개를 만들어 1억3000만원에 판매하고, 노숙자 명의로 6억5000만원을 대출받은 것이다. 조폭이라지만 기획력은 수준급이다.

그래도 대포폰의 존재를 전 국민에게 널리 알린 곳은 청와대다. 총리실의 불법 민간사찰에 대포폰이 쓰였고 청와대 행정관과 총리실은 대포폰으로 소통했다. 그런데 이를 알고도 해를 넘기는 해바라기 검찰도 수준급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