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망 확충으로 접근성 향상 ‘각광’… 국가보조금 지원범위 확대해야

워크아웃 중인 새한미디어가 GS그룹 계열사 코스모화학에 인수 합병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하지만 충주로 이전하는 상당수 기업들이 충주시가 타 지방자치단체보다 기업에게 제공하는 인센티브가 약하다고 언급,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충주시 및 윤진식(충주·한나라당) 국회의원 등에 따르면 충주시 목행동 소재 새한미디어(주)는 GS그룹 계열사인 코스모화학과 최근 인수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 워크아웃 중인 새한미디어가 GS그룹 계열사 코스모화학에 인수 합병되는 등 충주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윤 의원은 “10년째 워크아웃을 추진해 왔던 새한미디어는 채권금융기관협의회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지난 4월말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코스모화학과 컨소시엄을, 최근 새한미디어 M&A 관련 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새한미디어, 10년만에 기지개

이번 협상은 채권단과 매각 대금 등의 조건을 놓고 난항을 겪어왔으며, 윤 의원이 지난 7·28보선기간부터 우리은행의 경영진을 직접 설득해 성공적인 타결을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새한미디어는 워크아웃을 통한 경영정상화와 실질적 투자 및 경영능력을 겸비한 인수자와의 M&A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거래 인수대금은 약 1000억 원 규모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지난 2000년 5월 워크아웃기업으로 선정된 뒤 10년 만에 새 주인을 만나는 새한미디어는 제반 후속 절차를 신속히 추진해 내달 말까지 채권금융기관 공동관리 절차를 종료할 예정이다.

윤 의원은 “새한미디어 공장은 우리나라 산업 근대화의 상징인 충주비료공장을 물려받은 것으로 그동안 경영악화로 10여 년간 어려움에 처해 지역의 걱정이었지만 이번 인수합병을 통해 산업도시 충주의 옛 영광을 재현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코스모화학은 지난 1968년 한국지탄공업(주)으로 설립된 이래 2003년 코스모화학(주)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2005년 GS그룹의 방계회사로 편입됐다.

충주시는 지난 2006년 10월부터 이달 현재까지 289개 업체, 1조 6952억 원, 1만 790여명의 고용 성과를 거뒀다.

대표적인 기업은 대웅제약(2013년까지 2500억 원 투자), 대유디엠씨(2013년까지 1200억 원 투자), 유한킴벌리(1개 라인 시험 가동 중, 내년까지 2080억 원 투자), 문무(토목공사 중, 2013년까지 700억 원 투자), 보원케미칼(준공 가동, 227억 원 투자) 등이다.

아울러 올해 투자협약을 체결한 기업도 미원스페셜티케미칼, 서울식품공업, 태룡당 등이며 대부분의 기업들은 현재 건축공사를 진행 중이다. 이 밖에도 전성금속과 세아특수강 등이 금주 투자협약식을 맺고 올해 착공식을 갖는다.

따라서 충주시는 더 많은 기업을 유치키 위해 이류면과 주덕읍 일원에 신산업단지(210만㎡)를 오는 2012년까지 조성하려고 준비 중이다.

수도권서 이전하는 기업만 지원

충주가 이처럼 기업들에게 각광을 받게 된 것은 도로망 확충에 따른 접근성 향상과 저렴한 분양가, 민원처리기간 단축 등으로 압축된다.

그러나 기업들에게 지원되는 국가보조금(국비 70%, 시·도비 30%)이 수도권(용인·화성 제외)에서 이전하는 기업으로 한정돼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

실제 동화약품(서울에 본사)의 경우 입지보조금 10억 원과 투자보조금 10억 원을, 유한킴벌리(경기도 군포에서 공장 이전)는 입지보조금 62억 원을 지원받았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조세감면 혜택만 받아 대조를 이뤘다.

때문에 수도권이 아닌 전국의 우량기업들이 충주로 이전할 때도 국가보조금 등 인센티브 지원범위가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지방이전기업유치에 대한 국가의 재정자금지원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수도권을 제외한 타 지역까지 국가보조금을 확대하면 시비 부담이 너무 커져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에 위치해 있어도 ‘3년 이상 운영됐어야 한다’는 최소조건에 따라 3년 미만의 기업이 이전할 때, 창업 기업의 경우 국가보조금을 받을 수 없어 이 부분에 대한 제도적 보완장치도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