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이 지방선거의 핵심쟁점으로 떠올랐다. 여야 정당들의 원내대표들이 참석하는 토론회 자리에서 가장 큰 쟁점도 '무상급식'이였다. 한나라당은 '부자아이들에게 왜 국민세금으로 밥을 주냐'며 '부자급식'이라고 공격했다. 반면, 진보정당과 민주당은 '굶는 아이들에게 밥먹이자'는 것이라며, 전면적인 '무상급식' 시행을 주장했다.

진보교육감으로 통하는 경기도 김상곤 교육감의 무상급식 시행이 한나라당이 장악한 경기도의회에의 봉쇄로 무산된 지 몇 개월 만에, 이번 선거에서 가장 큰 쟁점으로 떠오른 걸 보면 역시 '밥먹고 사는 문제'의 파급력은 대단해 보인다.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직을 내놓고, 변산으로 내려가 공동체 마을을 설립한 윤구병 교수. 이 공동체 마을의 식당에는 '밥은 하늘입니다'라고 쓰여있다.

더불어, '하늘을 혼자 가질 수 없듯이, 밥은 혼자 가지는 것이 아니라, 나누는 것입니다'라고 쓰여있다.

한나라당의 주장처럼, '무상급식'이 전형적인 '포퓰리즘'인지 필자는 관심없다. 중요한 건, 변산공동체마을의 생각처럼, '굶는 아이들에게 밥을 나누는 것'이라 생각한다.

밥이, 사회적 신분과 차별을 나타내주는 척도가 되어서는 결코 안 된다. 혹자는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밥'이 어떻게 '사회적 신분과 차별'을 보여주는 척도가 될 수 있냐고.

하지만, 부인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십년 가까이 인연을 맺은 청주대학고 청소노동자 아주머니. 그녀들의 점심은 십년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차갑게 식어버린 도시락'이다.

최저임금에 간신히 턱걸이한 그녀들의 월급으로는 구내식당은 언감생심이다. 이렇게 정규직의 점심은 구내식당으로, 비정규직 용역노동자의 점심은 '차가운 도시락'으로 이렇게 대비된다.

이런, 청소노동자들의 수만해도 43만여명. 전체 노동자의 3%에 가까운 수치다. 이들에게 손을 내민 이들이 있다. 바로, 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이 노동조합은 '청소노동자에게 따뜻한 밥 한끼를' 이라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그녀들에게 허용된 식사공간인 화장실, 계단 및 지하창고, 배관실. 이제 그녀들에게도 법에 보장된 휴게시설에서 따뜻한 밥한끼 먹을 수 있을 정도의 점심식사비 지급 등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밥'은 강호동씨가 출연하는 프로그램의 '복불복' 문제가 아니다. 아이들의 급식문제도, 비정규 저임금 노동자들의 찬밥 문제도 결코 개인의 문제로 치부되어서도 안 된다.

단지, 인간으로서의 누려야할 기본적인 권리, 즉 (노동)인권의 영역에서 다뤄져야 할 문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