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대상’올해 8회째 되도록 권위 확보 못해
시상부문 너무 많아 ‘반쪽’ 전락…‘대대적 혁신’여론

지역 최고의 권위 있는 상훈(賞勳)임을 자랑스레 내걸고 있는 ‘충북도민대상’이 올해로 제정된 지 8년째를 맞고 있지만 아직도 제 위상에 걸맞는 평판과 권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매년 도민대상 수상자들이 선정·발표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인식은 말할 것도 없고 일반인의 일차적인 관심조차 제대로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있는 데다, 해마다 각 부문별 수상자를 선정하지 못해 반쪽 짜리 행사로 치러야 하는 현실이 이런 지적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처럼 도민대상에 무게가 실리지 않는 이유는 우선 충북도가 과욕을 앞세워 시상부문을 지나치게 확대, 방만하게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당초에 8개 부문으로 돼 있던 도민대상은 이후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명분으로 시상부문을 나중에 더 늘려 11개 부문으로 확대했지만, 바로 이 때문에 최고 영예의 ‘큰 상’이라는 뜻을 스스로 퇴색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대상’ 명색과 달리 반쪽 상으로 전락

한마디로 ‘대상’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포상범위를 너무 세분화하다 보니 대상자 선정 과정에서부터 ‘인물난’을 겪는 등 사실상 파행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역대 도민대상 시상결과를 보면 11개 부문 모두에 걸쳐 수상 대상자가 추천되지 못하는 사례가 거의 매년 되풀이돼 왔으며, 설령 각 부문별 대상자가 추천되더라도 심사위원회의 자체 심사과정에서 부적격 판단을 받아 심사위 전체 표결에 상정되지 않는 경우도 빈발해 왔다.

도민대상의 뿌리는 1959년 제정된 충청북도 ‘문화상’에 두고 있다. 이후 청소년 대상, 여성대상 등이 제정되면서 한때 충북도에서 시행하는 각종 상훈의 종류는 10개 부문에 걸쳐 무려 59개 상(賞)으로 늘어났다. 이러다 보니 난립하게 된 각종 상훈의 명칭이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제각기 다른 시상시기로 일반인의 관심이 흐트러지면서 이들 상은 권위가 땅에 떨어질 수 밖에 없게 됐다.

시상부문 과다…인물난 겪기 일쑤

이에 따라 충북도가 시상하는 각종 상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여론이 들끓자 도는 1995년 각계각층의 자문과 여론수렴을 거쳐 1996년부터 ‘도민대상’으로 통일, 8개 부문에 걸쳐 수상자를 선정해 시상해 왔다.

지만 이처럼 각종 상을 통합한 도민대상 역시 처음부터 파행을 겪어야 했다. 제1회 때부터  8개 부문 중 7개 부문밖에 후보자 추천을 받지 못한 데다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최종 결정된 수상자가 전체의 절반인 4개 부문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당시 심사위의 이같은 결정은 도민대상의 권위를 오히려 살렸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시상부문이 8개라고 해서 기계적으로 수상자를 모두 선정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도민대상은 그런 대로 “탈만한 사람들이 뽑혔다”는 평가를 한동안 유지하기도 했다.

1997년에 시행된 2회 시상에서도 8개 부문에 31명의 후보자가 추천됐지만 5개 부문에서만 대상 수상자가 선정됐고, 1998년에는 8개 부문 중 7개 부문에서만 수상자가 결정됐다.

하지만 도민대상은 불과 3년만에 양적 팽창을 시도하며 다시 흔들리기 시작했다. 1999년 일부 부문을 세분화해 시상자 폭을 확대하자는 충북도의회 등의 의견이 제기되자 충북도가 ‘문·예 부문’을 ‘문학’ 및 ‘예술’부문으로, ‘교육·체육’부문은 ‘교육’ 및 ‘체육’부문으로, ‘산업·근로’부문→’산업’ 및 ‘근로’부문으로 나눠 종전 8개 부문에 달하던 시상 분야를  11개 부문으로 늘려 버린 것.

심사위 구성·활동도 전문성 강화 필요

이 때문인지 그후부터 도민대상은 11개 부문에 걸쳐 후보자조차 제대로 추천받지 못하는 등 극심한 인물 기근난을 겪어왔다. 1999년 도민대상은 11개 전 부문에 걸쳐 시상이 이뤄졌지만 2000년 5회때는 9개 부문에 걸쳐 후보자 추천이 이뤄진 가운데 7개 부문, 2001년과 2002년에는 각기 9개 부문, 그리고 올해는 8개 부문에서만 그것도 가까스로 14명의 후보자 추천이 이뤄진 가운데 6개 부문 수상자만 선정한 것은 이 때문이다.

말 그대로 도민대상이 ‘절반만의 대상’으로 전락한 것. 올해 예술 및 산업부문에서 후보자가 추천됐지만 도민대상 심사위원회 해당분과에서는 “적격자가 없다”며 전체 심사위원회 표결에 아예 상정하지 않았다. 어쨌든 1996년 1회부터 올해까지 도민대상은 총 58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충북도는 “시·군에서도 자체적으로 시·군민대상을 뽑아 시상하다 보니 도민대상과 일종의 인물 경합을 벌일 수 밖에 없고 그러다 보니 인물난으로 선정에 애로를 겪는 게 사실”이라고 시인했다.

하지만 이런 문제점 뿐 아니라 도민대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역할을 맡는 심사위원회의 구성방식 등도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높게 나오고 있다. 충북도는 전문가 단체나 대학, 중소기업단체 노동단체 언론계 등 각계 각층으로부터 추천받아 심사위원들을 선정하고 있는데, 그러다 보니 심사위원회 활동의 전문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도민대상 심사위원중에는 역대 도민대상 수상자들이 몇몇 포함돼 있는 데다, 그동안 8회째를 이어오면서 동일인이 서너번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해 심사위원 위촉의 원칙이 무엇이냐는 지적도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이번에 심사위원으로 활동한 한 대학교수는 “역대 수상자와 이번에 결정된 분들에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지만 심사활동을 하면서 도민대상 운영방식이 바뀌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의식을 많이 갖게 됐다”며 “심사과정에 고개가 갸웃거려지는 인사들이 추천돼 선정작업에 고심이 컸다”고 토로했다.

이 때문에 지나치게 세분화돼 있는 시상부문을 3개 내지 5개 정도로 대폭 줄이는 대신 부문별 공적의 영역 등을 넓혀 제대로 된 인물을 선정함으로써 상의 권위를 높여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는 쪽이나 받는 쪽, 또 이를 지켜보는 도민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명실상부한 ‘도민대상’으로 위상을 부여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충북도 역시 “이런 문제의식에 전적으로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며 “조례개정을 통해 도민대상의 시상부문을 5개 안팎으로 줄이는 등 대대적인 개선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