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오창 거점지구 안될땐 들러리 전락


정부가 세종시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유치할 예정인 가운데 오송과 오창이 거점지구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치명적인 불이익이 예상되고 있다.

지난 30일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3차회의를 마친뒤 송석구 민간위원장은 기자브리핑을 통해 "국토연구원으로부터 세종시 자족기능 보완방안 중간보고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 방안을 보고받았다"면서 "위원회는 이 보고내용을 받아들여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세종시 발전방안의 일부로서 향후 심도있게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또 "한국경제학회, 국토연구원 주관 세미나 및 공청회를 통해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12월 중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발전 방안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국토연구원은 세종시에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유치될 경우 경제도시로 세종시를 발전시키는 '키스톤'역할이 가능하고 주변도시와의 연계 발전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같은 입장에 대해 충북도는 이미 올해 2월 정부안이 확정될 당시 세종시 중심의 과학비즈니스벨트가 지역적으로 상대적 소외감을 가져올 우려가 높다고 지적해 왔다.

실제로 충북도는 세종시 중심의 과학벨트 조성을 위해 세종시=기초연구원, 중이온가속기 설치 대덕=지식사업화단, 특구기능 보완 오송 오창=연구병원, 바이오메디컬시키조성, 방사광가속시 건립등을 건의해 왔다.

또 과학벨트 관문공항인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추진을 위해 국제노선 확대, 활주연장, MRO단지 조성, 수도권전철 연장등도 실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오송과 오창이 벨트내에 포함되더라도 거점지구로 지정이 안될 경우 외국인 정주 여건조성이 불가능해지고, 산업단지 조성과 기업유치의 어려움 등으로 세종시에 들러리만 설 가능성이 높아 정부의 확실한 대안이 없을 경우 오히려 역차별만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과학비즈니스벨트는 거점지구냐 기능지구냐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며 "이에 대한 보장을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1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 발표에서는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로 구분돼 거점지구는 기초연구분야의 거점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으로 대형연구시설 설치, 국가산단 조성, 외국인 정주여건 조성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반해 기능지구는 거점지구와 연계 응용 및 개발연구, 사업화 수행 지역으로 외국인 정주여건 조성 등이 불가능하다.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란

일정 지역을 하나의 벨트로 개발해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육성한다는 대통령 공약 사항. 아직 지구는 지정되지 않았고 전국 약 18개 지역에서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음. 이 중 '세종시-대덕-오송·오창'도 유력한 지역으로 대선 때부터 거론됐음. 특별법안이 지난 2월 국회에 제출된 뒤 진척이 없었음. 투자규모는 3조5487억원에, 200만㎡ 사업부지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