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개발권 '내륙첨단산업벨트 공동개발구상'이 5개월간의 산고 끝에 마침내 완성돼 21일 국토해양부와 지역발전위원회에 공식 제출됐다.

지난해 7월21일,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추진전략 보고회시 '□'자형 초광역개발권 계획에서 내륙지역이 제외된 이후, 정확히 1년만에 대전·강원·충북·충남·전북 등 5개 시·도가 공동합작한 작품이다.

초광역 개발권은 시·군 대상의 '163개 기초생활권',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눈 '5+2 광역경제권'과 함께 이명박 정부의 3차원 지역발전 전략의 하나다. 개발 종합계획은 올해 말까지 마련된다.

정부는 당초 내륙지역을 제외한 접경지역과 해안선 위주의 초광역개발권 계획을 발표했으나, 국토의 대외개방형 발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해안과 내륙이 동반 발전해야 한다는 내륙지역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지난해 12월 "기존 4대 개발축을 중심으로 내륙축도 검토하겠다"고 방침을 변경했다.

이에 따라 충북 등 5개 시·도는 지난 3월 내륙첨단산업벨트 공동개발구상을 수립하기 위해 공동추진팀(각 시도별 사무관1, 연구원1)을 구성해 6회에 걸친 워크숍, 간담회, 합동회의를 통해 내륙첨단산업벨트의 비전과 추진전략, 전략산업 연계방안 등을 담은 공동개발구상을 수립했다. 지난주 5개 시·도지사는 이 구상안에 최종 서명했다.

이 구상안에 따르면 내륙첨단산업벨트의 공간적 범위를 동해안의 강원 평창부터 대전·충남·북 등 중부내륙을 거쳐 서해안의 전북 정읍까지로 정해 5개 시·도 28개 시·군·구(5개 시·도 전체 인구 850만명 중 550만명)가 포함된다.

충북에서는 청주, 충주, 제천, 청원, 진천, 음성, 증평, 단양 등 8개 시.군(134만명)이 포함됐다.

나머지 보은, 옥천, 영동, 괴산은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을 추진함에 따라 제외됐다.

내륙첨단산업벨트의 비전은 '녹색기반 내륙첨단산업의 동북아 허브'로 정해졌다.

목표는 BT+IT+GT의 세계적 클러스터 조성 서해+중부내륙+동해를 연결하는 열린 국토축 건설 5개 광역 및 28개 기초자치단체의 상생경제권 구축 등 3가지로 설정됐다.

벨트내 5개 시·도가 전략적으로 연계해 발전시켜 나갈 5대 사업으로는 의료산업 전자·정보·부품소재산업 바이오·신소재산업 차세대 대체에너지산업 항공·우주 과학산업 등이 제시됐다.

정우택 충북지사는 "시·도별 이해관계가 첨예해 충북의 중재역할과 인접 시·도의 협조를 통해 구상안을 극적으로 합의할 수 있었다"며 "지방정부 공동으로 대단위 국가계획을 수립해 정부 정책에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지역발전을 위한 모범적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