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캐슬 “가격조정 안되면 충주 레미콘 쓸 것”
레미콘사 “가격 낮추면 이윤 보장 되지 않는다”

제천시 개발촉진지구에 대규모 휴양리조트를 개발 중인 ‘엠캐슬’이 공사 현장에 납품되는 레미콘 단가가 지나치게 비싸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엠캐슬은 지난해 5월 제천시 백운면 일대 19만 3784㎡에 산악형 휴양리조트를 착공해 내년 6월 개장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 중이다. 엠캐슬은 197실 규모의 호텔과 206실의 빌라(71개 동), 아트센터와 이벤트하우스 등이 들어설 예정인 가운데, 현재 진입로를 비롯한 리조트 기반 공사까지 마무리한 상태다.

▲ 엠캐슬의 기반공사가 끝나 본격적인 건축 절차를 앞두고 있지만 레미콘 공급가격을 둘러싼 갈등으로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그러나 시행사인 엠캐슬 측은 지난 6월 호텔과 클럽하우스 등 건물에 대한 기초 공사를 앞두고 지역에서 공급받는 레미콘 가격이 너무 비싸다며 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제천시도 레미콘 업체를 상대로 가격 인하를 설득하는 등 압박에 나섰지만 레미콘 업체는 엠캐슬이 시장 원리를 무시한 채 무리한 주장을 하고 있다며 시와 엠캐슬의 요구를 거부했다.

현재 제천에서 거래되는 레미콘의 가격은 1군 최저가 기준으로 ㎥ 당 6만 9000원이다. 인근 지역의 경우 충주는 6만 2000원, 원주는 6만 6500원이고 영월은 7만 4500원이다.

엠캐슬과 제천시에 따르면 지역 레미콘 업체는 레미콘 공급 가격을 ㎥ 당 7만 원에 구매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엠캐슬은 충주 수준으로 공급해줄 것을 바라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 제천의 레미콘 공급가격은 충주보다 13% 가량 비싸 엠캐슬로서는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수준이다.

엠캐슬 측 관계자는 “엠캐슬 공사에서 소요되는 레미콘이 약 12만㎥에 이른다고 할 때 제천과 충주의 레미콘 가격 차이는 약 10억 원에 달한다”며 “이처럼 큰 가격 부담을 감수한 채 공사를 진행하기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역 레미콘 업체가 적정한 가격으로 공급가를 조정하지 않으면 불가피하게 충주 등 값이 싼 주변 지역의 레미콘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며 지역 레미콘 업체의 양보를 촉구했다.

제천시 역시 제천은 인근에 시멘트 공장이 네 곳이나 위치해 원료에 대한 접근성이 우수하고 모래나 자갈 등도 수급이 용이한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 당 7만 원을 요구하는 지역 업체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엠캐슬과 제천시의 압박이 점차 거세지고 있음에도 지역 레미콘 업체는 시와 엠캐슬 측의 이 같은 주장이 여러 가지 가격 결정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채 지역별 공급가격만을 단순 비교한 데 따른 오해의 결과라고 반박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엠캐슬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가격을 조정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레미콘 업체는 레미콘의 원료 중 시멘트는 모든 레미콘 업체에 공급되는 가격이 같아 레미콘 가격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시의 주장을 반박했다. 또 골재의 경우 과거에는 남한강에서 양질의 모래를 다량으로 공급받아 비용이 저렴했지만, 85년 충주댐 수몰 이후 사실상 제천에서는 모래를 공급받기가 어려워졌다는 주장이다. 이로 인해 모래나 자갈 등 골재를 확보하는 데 과도한 물류비가 투입되고 있다는 것이 레미콘 업체의 설명이다.

또, 레미콘 가격에는 총 생산량(판매량)도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원주는 150만㎥, 충주는 100만㎥의 레미콘이 생산되고 있지만 제천은 40만㎥가 고작이어서 충주나 원주 수준으로 레미콘 가격을 맞출 경우 이윤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레미콘 업체 관계자는 “25만㎥를 생산하는 영월은 시멘트 공장이 가깝고 모래와 자갈이 풍부한데도 시장 규모가 작은 관계로 ㎥ 당 7만 4500원에 판매되고 있다. 엠캐슬도 이 같은 사정을 잘 알고 있다”며 “현재 GS, 대우 등 다량의 레미콘을 소비하는 1군 건설업체에도 ㎥ 당 6만 9000원씩 레미콘이 공급되고 있는데, 1군이 아닌 엠캐슬이 6만 2000원에 레미콘을 공급받게 해달라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양측의 주장이 이처럼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엠캐슬 측은 자신들이 원하는 수준에서 가격이 조정되지 않을 경우 충주에서 레미콘을 공급받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대규모 건설공사에 따른 경제 활성화를 기대했던 지역 여론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