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립예술단 창단공연을 보았습니다. 창단과정에서 음악이냐 연극이냐를 놓고 예술단체간에 벌어진 경쟁을 중재하는 데 일조했던 인연이 있었고, 지휘자 선정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이 많았던 만큼 관심이 아니 갈 수 없었지요. 공연장을 가득 메운 관객의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첫 무대인 만큼 아주 열심히 준비했을 터이고, 실력을 보여주지 않으면 아니 될 절박함도 있었을 것입니다. 이제부터는 창단공연 이후의 안정적 운영과 이를 통해 도민들에게 뿌리내리는 것입니다.

최근 한 언론매체에서 '문화선진도 현주소' 제하의 기획보도를 통해 도립예술단 창단과정을 포함하여 충북도의 문화정책을 비판하면서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귀담아 들어야 할 대목이 적잖습니다.

다만 문화헌장 제정이나 도립예술단 창단, 메세나협의회, 문화재단 설립 등을 구체성 없는 하드웨어 위주 사업 남발이라는 것에는 논의의 여지가 있을 것입니다. 정우택 충북도정에서 '문화선진도'가 어느 날 불쑥 모습을 드러낸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오래 전부터 충북도의 문화예술정책의 문제와 대안을 꾸준히 제기해 온 지역 예술계의 노력이 있었고, 이런 과정을 거쳐 결실을 본 것으로 압니다. 문화선진도는 농업명품도 등 경제특별도 시리즈의 하나로 모습을 드러낸 것이지요. 여기에는 도지사와 관련공무원들의 숨은 노력도 있다고 봅니다.

문화예술계 인사들의 자리다툼을 우려하는 것에 대해서는 하기나름으로 훌륭한 인재가 발탁될 수도 있고 집단이기주의로 흐를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다툼이나 이기주의를 민주적 논의의 장으로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예술단체가 제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민·관의 협치가 요구되는 것이지요.

타 지역에서 잘하는 것은 당연히 따라 배워야지요. 문제는 따라하기가 훨씬 더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열악한 지역 사정을 감안하면 그렇습니다. 기업메세나 성과가 늦었다고 몰아치기보다는 애쓴 보람을 갖도록 격려해주는 것이 더 나을 듯도 싶고요.

젊은 예술가에게도 발언권을 주어야 한다는 말씀은 당연한 것이고, 더 나아가 지적은 안 했지만 청주중심, 도시중심의 자원배분과 의사결정 등 지역간 불균형 해소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대안으로 제시한 지역문화계의 내부갈등과 알력을 해소하고, 토호 세력 구조 탈피, 장르중심주의 해체 등은 우리지역 문화예술계가 풀어야 할 숙제라고 생각합니다. 또 민·관의 적극적인 협력시스템 구축과 전문 인력 배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은 민·관이 함께 풀어야 할 사항들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과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 하는 구체적 실천방안이 나와야 하는 것입니다.

그동안 충북의 문화예술계에서는 문화재단의 필요성을 역설해 왔습니다. 그것은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이라든가, 문화적 통치를 넘어서서 새로운 시대의 문화협치(cultural governance)라는 의미 때문이지요. 문화예술적 가치 증진을 위해 정책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극대화한 전문가 중심의 민·관의 거버넌스(governance)에서 그 대안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문화재단 설립에 관한 지방 공청회에서 "어떤 공무원이 관이 가지고 있는 권한을 내놓으려 하겠느냐"는 말에서, 왜 거버넌스를 강조하게 되는지 새삼 느끼게 됩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