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 기반 확보, 회원중심 프로그램 확대 등 체질개선
시민없는 시민단체 비아냥도 불식, 타 단체 확대 전망

▲ 청주충주환경련이 500플러스 운동 마감을 앞두고 회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시민운동의 위기’를 논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환경운동연합의 회계비리 사건이다.
단체 실무자가 정부의 공익사업 지원사업비를 횡령했다는 게 드러나면서 도덕성에 치명상을 입었기 때문이다.

물론 환경운동연합을 눈엣가시처럼 여긴 정부와 사법당국이 이 문제를 확대해 이용했다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아무리 좋게 봐도 본질은 역시 회계 부정에서 벗어날 수 없다.

위기에 빠진 것처럼 보이던 환경운동의 돌파구가 충북에서 보이기 시작했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이 의욕적으로 벌여 성공한 ‘500플러스 운동’이 시민운동 전체에 전환점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의 ‘500플러스 운동’은 회원 500명을 더 늘리자는 단순한 사업이지만 그 내용을 뜯어보면 매우 중요하고 큰 의미가 담겨져 있다.

우선 자립기반을 마련한다는 것. 현재 750명의 회원이 납부하는 회비는 월 600여만원으로 실무자 인건비와 사무실 운영비는 경상비용 조차 충당할 수 없다.

회원이 500명 늘어나면 회비 수입도 1100만원에 달해 6명의 실무자 인건비는 물론 안정적인 사업기반이 마련된다는 것.
더욱 중요한 것은 이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이나 사업방향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정부가 소위 촛불단체에 대해 정부나 지자체 지원을 끊겠다고 나서는 상황에서 공익사업 참여를 통한 단체 운영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졌다.

단체 관계자는 “환경련과 공동으로 운영되는 정부나 지자체의 환경 관련 프로젝트들이 있다. 사업비 명목으로 단체에 지원돼 왔지만 이미 정부가 촛불단체 운운하기 전에 환경련 내부적으로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한 상태”라고 말했다.

정부나 지자체 지원사업으로는 단체 회원 중심의 사업이 불가능해 지는 구조적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결정된 사업에 참여하거나 위탁받아 진행하는 과정에서 회원들의 요구나 참여는 배제되고 실적과 성과만이 남게 된다는 것이다.

염우 사무처장은 “회원중심 사업으로의 전환이라는 의미 외에도 보다 선명한 목소리를 낼 수 있고 정부나 지자체, 기관단체 등과 진행하는 협력사업에도 내용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시민운동 비판의 단골 메뉴인 ‘시민없는 시민단체’라는 비아냥도 불식시킬 수 있어 근본적인 체질개선도 가능해 졌다는 평가가 내려지고 있다.

지난 4월 초부터 2개월간 진행된 ‘500플러스 운동’을 성공시키기 위해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은 전 역량을 총동원했으며 그 결과 운동기간 마지막을 일주일 앞둔 23일 470명의 신규 회원이 가입신청서를 제출했다.

염 처장은 “500명의 회원이 늘어난 것 보다 더 큰 수확은 500플러스 운동을 전개하며 수많은 시민들과 만나 대화하고 단체에 대한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눴다는 점이다. 지역 환경운동 전반에 대한 시민들의 평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반성하는 기회도 됐다”고 말했다.

더욱이 환경련의 ‘500플러스 운동’으로부터 시작된 회원 중심의 사업 전환 시도가 타 시민사회단체에 까지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민운동이 갖고 있는 가장 큰 고민에 대한 해법을 500플러스 운동이 제시해 줬다고 본다. 자립기반 확보와 회원중심의 프로그램 전환 등은 시민운동이 전문 대안운동으로 자리를 굳히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