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사회문화부 기자

지자체에서 예술가를 지원하는 방식은 문화예술진흥기금(이하 문진금)을 골고루 나눠주는 게 고작이다. 또 이러한 문진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춰야 한다. 가령 단체의 경우 3년이 지나야 하고, 개인일 경우도 심사에 응하려면 자격이 필요하다.

하지만 심사는 공정한가. 심사는 대개 지역의 문화예술단체의 수장과 지역 대학의 교수들이 자리를 차지한다. 그러다보니 협회위주로 예산을 쪼개주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협회를 떠나 개인을 위한 지원은 척박한 실정이다.

일단 그들만의 리그에서 배분되는 ‘양식’이 낯선 개인에게 돌아갈 기대는 아예 접어야 한다. 학력과 프로필, 협회 소속 여부를 통해 판가름이 나는 문진금 배분, 이것이 명백한 현실이다.

예술가를 지원해야 한다는 논리에 있어서도 허점이 많다. 예술가의 구분을 어떻게 세분화할 것인가. 장르별 구분은 편의적이지만, 예술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 이때 이러한 발상은 시대착오적이다. 또한 전업예술가와 젊은 예술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따로 마련돼 있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소위 ‘좋은 게 좋은 식’ 지원의 굴레가 끊어질 묘안도 없어 보인다.

어쩌면 지자체와 예술계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하는 것은 예산의 확보보다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 가이다. 충북도는 문화선진도 발표로 내후년까지 문진금을 늘려 지원 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지원의 방식이 구태의연한 행태를 벗어나지 못한다면 오히려 불신만을 야기할 것이다.

예술가를 지원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다. 예를 들어 대전시립미술관에서 3월부터 5월까지 충청권작가들을 선별해 기획전시 ‘가공할 미술전’을 벌이고 있다. 이 전시는 참여 작가들에게 100만원의 작가료를 제공했다. 이를 두고 지역의 한 전업 작가는 이러한 예들이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했다. 팸플릿을 거창하게 만들고, 화려한 오프닝 행사보다 실질적인 작품에 대한 대가가 더 요긴하다는 것이다.

또한 미술창작스튜디오도 작가지원의 한 예다. 작가에게 작업실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작가들의 작품은 스튜디오 내 갤러리에서 전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평가와의 만남을 통해 작품의 질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한 이유로 올해로 제3기 작가를 뽑은 미술창작스튜디오의 경쟁률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다시 지역 문진금 배분으로 돌아가 보자. 소액다권주의를 고집하는 문진금은 행정 편의주의 속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기획이 없는 배분은 타성에 젖기 마련이고, 타이틀이 많이 붙은 곳에 지원함으로써 명분을 스스로 찾는 식이다.

하지만 지원의 본질적인 목적이 지역예술활성화라면 지금부터 전체적인 로드맵을 짤 필요가 있다. 지원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과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준비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앞으로 공적자금이 대량으로 예술계에 쏟아져도 문제다. 지금 지역예술계를 놓고 큰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면, 산발적인 예산만 늘어난 뿐이다. 또한 이러한 예산의 수혜자도 언제나 한정돼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