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우택 지사와 남상우 시장이 부시장 인선을 놓고 갈등을 빚을 때 도청 출입기자와 청주시청 출입기자의 시선이 다르다는 것을 실감한 적이 있습니다.

제가 아는 도청 출입기자들은 정 지사와의 친분을 떠나 청주시가 월권을 하고 있다는 인식이 팽배했습니다. 이들은 “부시장을 청주시가 인선한다면 당연히 도청과 협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일부 시청 출입기자들은 “정 지사가 남 시장에 너무 하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매일 얼굴을 맞대고 식사를 같이 하는 출입처에 자연스럽게 동화되는 것은 ‘인지상정’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자신의 출입처와 다른 출입처가 충돌할 때 본인이 맡고 있는 기관의 논리가 더 솔깃한 것이 사실입니다.  지난 1996년 괴산 주재기자로 근무할 때 경북 상주시의 문장대온천과 용화온천 개발 저지운동이 최대 관건이었습니다.

충북지역 일간지 기자들은 경북 상주시의 무분별한 온천 개발을 맹공격했고 경북지역 일간지들은 온천 개발을 옹호하는 기사로 맞대응했습니다.

이수성 당시 국무총리가 온천개발 현장을 방문할 때 이보환 기자(현 중부매일 단양주재)가 김환묵 당시 괴산군수가 이 총리에게 더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배려했던 모습이 지금도 기억에 남습니다.

문장대온천과 용화온천 개발 저지운동은 지역 이기주의보다 환경적 측면에서 충북 일간지들이 정당성을 가졌다고 확신합니다.

그러나 온천 개발저지운동처럼 특수한 사례를 제외하면 출입처에 동화되는 것은 장점보다 단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충북지역엔 해당되지 않지만 서울의 경우 각 정당별로 출입기자가 배치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나라당을 출입하던 기자가 한나라당 국회의원 또는 당직자로 변신하고 민주당을 출입하던 기자가 민주당 국회의원이나 당직자가 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한나라당의 국회의원 또는 당직자로 변신한 사람이 기자 시절에 작성한 기사는 객관성이 많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의 경우로 민주당 국회의원 또는 당직자로 변신한 사람이 기자로 활동할 때 작성한 기사도 한나라당보다 민주당을 감싸는 기사가 많을 것입니다.

이처럼 기사의 관점이 굴절되지 않기 위해선 출입처와의 긴장관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기자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출입처로부터 자유로운 기자가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HCN충북방송 보도팀장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