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사회문화부 기자

충북도는 지난해 5월 ‘문화선진도’를 선포했다. 5대 전략목표와 11개 핵심 추진 과제를 설정하고 문화선진도의 첫 항해를 시작했다. 첫 단추를 꿴 것은 지난해 10월, 청주 문화의 달 행사 때 문화헌장을 공포한 것이다.

청주문화의 이정표를 제시한 문화헌장을 시작으로 올해 4월까지 문화예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도내 오지마을과 농촌, 각종 시설 등에 문화예술의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도립예술단을 창단키로 공언했다.

하지만 지휘자 선정을 놓고 공정성 시비가 일었고, 정우택 지사의 색소폰 스승이었던 오선준 도립예술단 지휘자 내정자는 코너에 몰렸다. 물론 오선준 지휘자의 석사학위 문제도 걸렸지만, 세간에는 정우택 지사와의 인연이 입김으로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강하게 일었다.

이를 다시 살펴보면 충북도의 주먹구구식 문화예술행정이 더 큰 문제다. 일단 충북도는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심사 위원에게 돌림으로써 면죄부를 받고자 했지만, 선정과정이 투명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게 된 데는 ‘아무것도 몰랐다’고 변명하는 공무원들의 무지도 한몫했다.

또한 다 알다시피 오선준 내정자와 친인척 관계에 있는 주무과장이 심사위원을 본 것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공무원들이 해당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인 심사위원을 선정하는 방법은 ‘무작위’였다. 지역을 안배한 무작위 선별로 5명의 심사위원을 뽑은 후 정작 심사위원들에게는 5배수 추천을 통해 25명의 신청자들의 순위별 점수를 냈다. 그렇다면 심사에 가장 큰 배점을 차지한 5배수 추천의 기준은 과연 무엇일까. 주관에 의한 선택만이 점수화된 것일 뿐 뚜렷한 기준은 없다.

이렇게 5배수 추천을 통해 1등을 거머진 오선준 지휘자는 이후 학위 점수를 합산해 최고점을 냈다. 이후 도 실국장이 참여한 면접심사를 거쳐 오선준 지휘자는 최종 선정됐다.

한편 이번 심사위원 중 한명이었던 이준원 서원대 교수는 “오선준 지휘자의 학위는 단기 연수캠프에 다녀온 수준”이라며 학위 검증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뿐만 아니라 “심사 도중 지역 사람이 뽑혔으면 좋겠다는 분위기가 흘렀다”고 성토했다.

이에 청주음악협회는 “학위는 나라별로 체제가 다른 것일 뿐 이를 인정해야 한다”고 반박기자회견을 했다. 결국 이번 싸움은 청주음악협회를 비롯한 지역예술단체들이 연대하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동유럽 국가에서 학위를 받은 음악인들에게 이러한 자격논란은 곧 자기 자신에게 화살을 꽂는 것처럼 여겨졌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사람은 안 된다’는 편견에 맞서겠다는 묘한 동질감이 형성된 것이다.

이들의 주장처럼 학위체계는 그야말로 나라별로 다양하다. 이번 오선준 지휘자의 학위문제에 대해서도 충북도는 해당 국가로부터 인증을 받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박할 만한 자료도 마땅히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이제 이 논란은 잠잠해질까. 충북도가 먼저 미국, 동유럽, 러시아, 이탈리아 등 나라별로 세부적인 학위의 기준을 정했다면 불필요한 논쟁은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어쨌든 논란의 씨앗을 안고 도립예술단은 출발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