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광산의 72%, 제천 수산면 7곳 밀집해
전면 실태조사·특별법 제정 등 시급

환경운동연합과 시민환경연구소가 조사한 '전국 석면광산 실태'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였던 1941년~1988년 사이 가동된 것으로 확인된 일제강점기 이후 1980년대 초반까지 가동된 전국 석면 광산 36곳중 72%인 26곳(충북 9·충남 17)이 충청권에 밀집됐던 것으로 나타나 정부·지자체 차원의 전면적인 실태조사와 대책이 요구된다.

환경운동연합과 시민환경연구소가 조사한 '전국 석면광산 실태'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였던 1941년~1988년 사이 가동된 것으로 확인된 전국 36개 석면광산의 72%가 충청권에 집중돼 있다.

특히 제천시는 환경운동연합 조사로 실태가 일부 확인된 수산면 수산광산, 동아광산을 비롯해 덕수광산, 남아석면광산 등 일제강점기였던 1941년을 전후해 모두 7곳이 가동돼 단일 지역으로는 광산 수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환경연구소는 또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조선광물지' 석면란을 인용해 제천 일대 동아광산과 선왕광산에서 생산된 석면량이 전국의 90%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연구소측은 일제강점기 석회암 지역인 이 일대에서 마그네사이트, 텅스텐과 함께 이같이 많은 양의 석면 광물을 생산했다고 덧붙였다.

충주에서도 같은 시기 2곳의 석면광산이 가동돼 충북에서는 모두 9곳이 가동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모두 17곳으로 당진 1곳, 서산 5곳, 합천 1곳, 광천1곳, 홍성 6곳, 청양 1곳, 보령 2곳으로 나타났다. 충남 지역 석면광산은 1941년부터 1988년 사이 가동됐다.

충남 보령시 오천면과 홍성군 광천읍 일대 석면광산에서 일했던 주민들과 인근 마을 주민들의 경우 환경부와 가톨릭 의대가 공동 실시한 '석면 건강 영향 조사'에서 상당수가 석면폐 등 질환이 확인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현지에서 주민설명회를 갖고 실태조사와 진료비·보상비 지원 대책을 설명했다. 충남도 역시 석면관리팀을 신설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중이다.

환경운동연합 석면추방네트워크는 13일쯤 제천시 수산면 현지를 방문해 2차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국회 송광호 의원(한나라당·제천단양)과 오성균 한나라당 충북도당위원장 등 당직자들은 12일 오후 4시 수산면 사무소와 현장을 방문해 실태를 파악할 예정이다. 최예용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충남지역에 이어 제천에서 석면피해 사례가 잇따라 나온 만큼 보상과 피해예방활동을 제도화하고, 전담하는 기구 설치를 의무화하는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밝히고 "좀더 면밀한 조사를 위해 2차 조사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환경부의 역학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13일쯤 현지조사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