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 후보의 언론관련 발언을 둘러싸고 신문사들의 논조와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보는 시각도 확연히 엇갈리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지난해 8월 당시 참석했던 기자들의 증언, 노후보측의 입장, 이후보측이 전해들은 내용에 대한 보도가 이어졌지만 이에 대해 신문사마다 제각기 다른 해석을 하면서 조선·동아와 한겨레·경향 등의 구도로 나뉘어져 최근까지 공방을 벌이고 있는 상태다.
‘미디어 오늘’보도에 따르면 노후보와 언론간의 공방이 격렬해지자 가장 먼저 이 사태를 논평하고 나선 곳은 한국일보. 한국일보는 지난 9일자 사설 <후보·두 신문 모두 자제해야>에서 “여당의 가장 유력한 후보가 자신에 불리한 보도를 한다고 두 신문에 대해 막말을 하고 두 신문도 이에 질세라 ‘너 잘 걸렸다’ 식의 감정적 대응을 하는 것은 성숙하지 못한 처사”라며 “노후보와 두 신문은 더 늦기 전에 이성을 되찾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곧바로 10일자 사설 <‘정치인의 몫’‘신문의 몫’>에서 “조선일보가 앞장서 시작하지도 않은 쟁점임에도, 우리가 마치 그 사안의 원초적인 책임당사자인 양 낙인찍히고 사갈시된 근래의 일련의 사태에서 우리는 새삼 정도에 바탕한 ‘정치인의 몫’이 준절히 강조돼야 함을 절감한다”며 “쟁론과 분란은 정치쪽 당사자들이 일으키고서도 그것을 형평성 있는 편집으로 보도한 신문들이 마치 그것을 조작이라도 해냈다는 양 뒤집어씌우고 덮어씌운다면 신문으로서는 불퇴전의 각오로 정도의‘언론의 몫’을 재확인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 날 한겨레는 <보도의 상식과 언론의 본분> 제하 사설에서 “최근의 사태가 단순히 특정 후보와 일부 언론과의 갈등 차원에서 끝나지 않는다. 보도의 상식인 사실확인조차 없이… ‘8개월 전의 술자리 대화’까지 대대적으로 보도해 민주정치의 과정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며 “언론이 의도했든 아니든 최근의 양상은 명백하게 민주당 경선과정에 언론이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는 평가에 설득력을 더해준다”고 지적해 사실확인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도한 언론에 책임을 물었다.

언개연 ´시민언론운동´ 출간

시민언론운동의 현실을 진단하고 새로운 좌표를 모색하기 위한 논의를 묶은 책이 나왔다.
이 책에서 성공회대 조희연 교수는 언론개혁운동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조교수는 <‘국가-시장-시민사회’와 언론·언론개혁운동>이라는 글을 통해 “언론개혁운동은 단순한 ‘진보적’ 운동이 아닌 구체제하에서 ‘왜곡화된’ 일그러진 언론을 ‘정상’으로 되돌려 놓기 위한 국민적 ‘정상화’ 운동”이라고 지칭했다.
언론이 권력화의 길을 걷고 있을 때 인터넷이 민중의 매체로 등장한 것과 관련해 진보네트워크 장여경 정책국장은 <인터넷 언론과 시민사회>라는 글을 통해 “인터넷 언론에 대한 지지를 통해 언론민주화 운동의 정당성도 함께 역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이 책은 이권 쟁탈장이 되어버린 방송위원회 문제, 신문시장 관련법의 개정방향, 한국적 퍼블릭액세스의 정착과제, 시민언론운동의 목표 등을 21명의 필자를 통해 정리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