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반민족행위자 명단공표에 대한 각 신문의 보도는 사주의 이해관계가 신문의 논조에 얼마나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경향·대한매일·문화·한국·한겨례등 다수의 중앙일간지가 명단공개에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고 환영한 반면 전 사주의 이름이 포함된 동아와 조선은 강하게 반발했고 중앙은 최소한의 보도지면을 할애했다.
명단발표 직후 신문사별 기사제목을 보면 ‘친일 708명 명단공개’(경향·한국·문화) ‘친일행각 708명 공개’(대한매일) ‘방응모·김성수씨등 친일파 708명 공개’(한겨례) 등으로 뽑았다. 이에반해 동아와 조선은 ‘일부 여야의원 친일명단에 16명 임의 추가’ ‘광복회 자의적선정 유감표명’ ‘광복회 정치적·감정적 처리’라는 제목으로 처리했다. 또한 민족정기모임과 광복회간의 의견 차이와 선정 절차상 시비를 집중부각시켰다. 또한 두 신문은 친일 반민족 행위자 명단, 행적을 게재하는 대신 발표에 참여한 의원명단을 ‘기자회견 참석, 불참석, 서명거부’ 등으로 세분화해 소개했다.
동아는 다음날인 2일자에도 ‘친일명단 16명 임의추가 파장/공개반대 의견 묵살당해’ ‘친일명단 작성 참여자 명의도용 시비’ 등의 기사로 명단발표와 정당성을 계속 문제삼았다. 조선도 ‘광복회, 친일 692명 2월 회보에 공표/ 일부 의원 추가 16명은 없었다’에 이어 4일자에 반민특위 조사관 이원용씨의 인터뷰 ‘반민법 6조 안따르고, 광복회와도 합의안해’를 실었다. 또한 5일 창간기념회에 ‘계초 방응모와 민족 지사들’ ‘만해와 계초 각별한 우정’ 등의 기사를 실어 일제당시 조선일보의 ‘민족적 행적’을 적극 보고했다. 이에대해 성공회대 김서중 교수는 “일제가 임명한 직책에 종사한 사람들보다 직책에 있지 않으면서도 비행기헌납, 강연. 기고 등으로 친일행위를 한 사람이 어떻게 보면 죄질이 더 나쁘다. 이같은 행위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성격을 띠는 것으로 방응모나 김성수가 추가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일부에서 ‘공과 상쇄론’을 얘기하지만 사실상 해방직후 친일행위로 인한 처벌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그들에게 공을 세울 기회가 주어졌던 것이지, 만약 제대로 된 친일파 청산이 이뤄져 독립운동을 했던 분들에게 기회가 주어졌다면 더 큰 업적을 남겼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