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군, 마름모 꼴 돌망태 옹벽 약점 많아…굴삭기 작업 자제해야

단양군이 봄철을 맞아 관내 수해 복구 지역에 대한 마무리 공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현장을 중심으로 참여 업체들의 불성실 시공과 행정 당국의 안일한 지도 감독이 여론의 도마에 오르내리는 등 부실 공사의 우려를 낳고 있다.
단양군은 지난해 장마로 유실 또는 파손된 116곳의 수해 현장에 대해 대대적인 복구 공사에 들어갔다. 가곡면 대대리 소재 하일천 수해 현장의 경우에도 지난 12월 복구 공사에 들어가 현재 제방 쌓기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90일이 지난 3월 말이면 복구 공사가 모두 마무리됐어야 하지만, 겨울철 공사 중지로 인해 현재까지 구간별로 약 50% 안팎의 저조한 진척을 보이고 있다.
총 3억 3759만원의 복구 예산이 배정된 하일천 수해 현장에서는 지난해 파손된 하천제방354m 구간에서 5개 시공사가 일제히 공사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 복구 구간에서는 가로 2m, 세로 1m짜리 돌망태형 옹벽을 쌓는 공사가 한창이다.
즉, 마름모 꼴의 철망이 그물처럼 얽혀 있는 2m폭 돌망태에 자갈돌 등을 담아 차곡차곡 옹벽을 쌓는 방식으로, 이는 통상 하천 뚝 보강이나 복구 등에 많이 쓰이고 있다.
이 시공 방식은 원칙적으로 미관이나, 매입 자갈류의 안정성, 망태의 견고성 등을 감안해 망태 그물의 모양이 세로가 길고 가로가 짧은 이른바 세로형 다이아몬드 구조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하일천 수해 복구 공사에서는 시공 업체들이 이와는 반대로 가로가 세로보다 긴 가로형 다이아몬드 구조로 망태를 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망태의 그물망을 가로형 다이아몬드 구조로 시공할 경우 세로형에 비해 버티는 힘이 약해 시간이 가면 갈수록 망태의 모양이 이글어질 우려가 있고, 또한 아래로 처짐 현상이 있어 미관상 좋지 않고 세로형에 비해 돌이 망태 바깥으로 삐져 나올 확률이 높다”며 “이 때문에 제천 등 인근 지역에서는 세로 다이아몬드형 망태 구조로 옹벽을 쌓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돌망태에 옹벽용 자갈을 매입할 때에는 사람이 직접 돌을 망태에 넣으면서 빈곳이 없도록 차곡차곡 채워 다지는 것이 원칙이지만, 하일천 복구 현장에서는 주요 공정을 굴삭기에 맡기는 대신 인부들은 빈 공간을 점검해 돌을 고르는 보조적 역할만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경우 돌망태의 단위 부피 당 자갈 밀도가 수작업에 비해 크게 낮아짐으로써 부실 공사를 낳을 위험이 매우 높다.
한 공사 전문가는 “굴삭기로 망태에 자갈을 매입할 경우 인건비와 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해 복구 공사에서는 치명적인 안전상의 하자를 낳을 공산이 크다”며 “전국적으로 이 같은 안일한 시공 방식 때문에 똑같은 위치에서 제2, 제3의 수해가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업체의 불성실 시공을 방지하고 옹벽 구조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행정 당국의 엄격한 사전·사후 점검과 감독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정작 시공업체를 지도 관리해야 할 자치단체가 담당 공무원수 부족 등을 이유로 현장 감독에 대해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 같은 부실 관행은 좀처럼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단양군 관계자는 “수해 복구 현장은 116곳에 이르지만, 이를 관리 감독해야 하는 담당 공무원이 모두 합쳐 5명에 불과하다 보니 담당자에 따라 적게는 16곳에는 많게는 40곳 가까운 현장을 맡아야 하는 열악한 여건에 처해 있다”며 “같은 공사 현장을 다시 방문하는 데까지 최소 1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상황에서 매 현장마다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하일천 수해복구 현장의 경우 단양읍민들의 상수원인 취수탑이 인접 하류에 위치해 있어서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관리 감독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현재 이곳 공사 현장에서는 시공 업체들이 흙탕물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이나 침전 시설 등 안전 장치를 전혀 마련하지 않은 채 굴삭기를 이용해 하천의 바닥을 마구 파헤치고 흙탕물을 남한강으로 버리고 있어 단양군 상수원의 수질 훼손 등 간접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