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금회·적십자·스카우트 등 중앙집권적
독립적 지역 조직으로 변신

공동모금회는 출범 당시 명칭이 엄연히 ‘충청북도공동모금회’였다. 그러다가 최근들어 슬그머니 ‘공동모금회 충북지회’로 바뀌어 버렸다. 지역 독자성을 확보한 별도 법인체가 아닌 중앙조직의 지역 하부조직으로 전락한 것이다.
중앙회에서는 전국의 각 시·도 공동모금회 사무국장의 업무추진비까지 ‘월 25만원에서 35만원으로 인상토록’ 지시할 정도로 사사건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도 공동모금회 회장들은 한때 “불우이웃돕기 창구를 지역마다 단일화, 효율성을 제고하자는 차원에서 출범한 공동모금회조차 중앙에서 통제하려 한다”며 반발하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이는 각 분야에서 추진되는 최근의 지방분권 노력에 정면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충북의 경우 얼마전부터 중앙에서 5억원 안팎을 지원하는 것도 중앙회의 영향력 행사를 위한 ‘지렛대’ 확보 차원으로 분석되고 있다.

사무국장 업무추진비까지 ‘간섭’
“보이스카우트나 걸 스카우트의 지역 연맹장이 해당 조직의 사무국장에 대한 인사조차 할 수 없게 돼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지역 연맹에 가입한 회원들이 내는 회비는 일부를 빼고 중앙조직에 올려보내고 있는데, 이 돈은 결국 중앙연맹의 사무국 운영비로 충당되거나 기껏해야 회관 건축비 등 불요불급한 목적외 사업비용으로 전용되기 일쑤다. 이것은 분명 잘못된 관행이다.”
전 보이스카우트 충북연맹장을 지낸 이상훈 충북지역개발회장은 “적십자사 역시 충북적십자사가 아닌 대한적십자사 충북지사로 마치 공기업체 조직처럼 돼 있으며 여타 NPO의 상당수가 비슷한 실정에 놓여 있는 반면 청주경실련을 비롯한 NGO는 지역단위의 독립적 조직으로 주체성을 확보하고 있어 큰 대조를 이루고 있다”며 “이런 현상은 OECD국가중 우리나라가 유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에선 재원배분·네트워킹화만
결국 NPO들을 시·도 광역별로 법인화, 지역 고유의 독립적 조직으로 개편함으로써 이 분야에 있어서도 지방분권을 실현해야 한다는 목소리인 것이다. 중앙조직은 자원의 배분과 정책개발, 그리고 각 지역간의 네트워킹화를 돕고 지역에서는 지역 실정에 맞게 독자적인 활동에 나서는 것이 시대의 흐름이나 정신에 부합하는 것이란 지적이다.
이런 점에서 이미 법인화 단계를 거친 새마을협회의 경우 다른 단체에 비해 전향적 모습을 보이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중앙집권적 체제를 여전히 벗지 못하고 있다.
이에대해 김준석 충북공동모금회장은 “공동모금회가 모금하는 성금의 절대액수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매년 5억원에 가까운 성금을 중앙으로부터 지원받는 것은 지역 입장에서는 큰 도움이 되는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사무국 조직 운영 문제를 비롯해 각 지역 공동모금회의 위상 문제와 관련해서는 무언가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원칙적으로 동감”이라고 말했다.
/ 임철의 기자

눈길 끄는 지역개발회의 ‘개혁’행보
사무국장 ‘유급직제’에서 ‘봉사직’ 전환

충북지역개발회가 자체 혁신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지역개발회는 지난 25일 총회를 열고 ‘기금운영을 위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정관을 개정했다. 초저금리로 기금이자 수입이 급감하며 사업활동 영역이 계속 축소되는 데 대한 고육지책의 돌파구인 셈. 지역개발회는 기금을 예금상품보다 이율이 높은 국채 등 채권 매입에 쓰는 방안 등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개발회는 사무국의 직제를 별정직화하는 등 구조조정에도 나섰다. 연봉이 4000만원에 달했던 사무국장의 직제도 물론 바뀌게 됐다. 개발회 관계자는 “도민의 성금으로 운영되는 법인으로서 앞으로 사무국장직에는 자원봉사자를 임명할 계획”이라며 “신임 사무국장에게는 월급없이 업무추진비 명목으로 월 60만∼70만원만 지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 현재 95억 4000만원의 기금을 갖고 있는 개발회는 기금운용으로 올린 5억 400만원의 이자수입과 국세환급금 1억 500만원 등 총 6억900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그러나 이자수입의 40%를 매년 기금으로 재적립토록 한 규정에다가 2명의 사무국 직원(회장은 무급직) 보수를 지급하고 남은 사업비가 얼마되지 않아 장학금을 비롯해 체육 및 문화예술 활동과 지역개발 활동을 위한 지원 등 설립취지에 맞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온 게 사실이다.
어쨌거나 지역개발회의 이같은 변화의 노력이 타 단체들에게 개혁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질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