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직협·시민단체 30여곳 ‘폐지’요구
기자실 폐쇄와 계도지 폐지 움직임이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 지방자치제가 정착되기 시작한 90년대말부터 각 지역의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제기됐던 계도지 폐지와 최근 공무원직장협의회가 추진하는 기자실 폐쇄·개혁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10월 30일 경남 사천시청 출입기자단은 공직협의 기자실 강제폐쇄운동에 결국 기자실을 자진반납, 개방형인 ‘보도실’로 전환했고, 지난달 기자단을 해체한 마산시청 출입기자단도 4일부터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바꿨다. 지금도 인천지역 9개 공직협, 강원지역 14개 공직협, 울산시 공직협, 경산시 시민단체, 성남사회단체연대회의 등에서 30여개 이상의 기자실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언론개혁국민행동 경남본부(언론개혁경남본부)의 경우 지난달부터 도내 시·군청 기자실에 대해 현 운영시스템 폐지와 더불어 개방형 브리핑룸으로 바꿔줄 것을 요구하며 자치단체장과 면담을 하고 있다. 이는 마산시청 기자실 개혁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개혁경남본부는 앞으로 기관장 및 언론사 사장·편집국장과 면담을 갖고 기자실 폐쇄 및 언론인의 자정 등을 촉구할 계획이다. 또 서울지역공직협연합(서공련)이 3일 ‘대한매일과 지역신문 예산지원을 중단하고 기자실을 폐지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고 공무원들의 상급단체인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총연합(전공련)도 지난달 14일 ‘계도지·기자실 폐지’에 나설 것을 천명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산하 13개 단위 직협에서도 각 기관장과 협의를 갖는 등 본격적인 실행에 나섰다. 서공련은 다음주 초 세부방침을 결정할 예정이다.
시민단체는 물론이고 공무원들이 ‘기자실 폐지’에 적극적 지지를 보내는 것과 관련, 부평구 공직협 고광식 회장은 “법적 근거도 없이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하는 행정기관의 사무실을 무단 점유하고 있다”며 “그동안 관언유착의 온상이 돼왔기 때문에 공직개혁과 함께 언론개혁을 이루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기자실 담당 직원의 임금을 포함하여 경상운영비, 신문구독료, 각종 도서구입비 등도 불필요한 예산”이라고 지적했다.
부평구 공직협이 지난달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95%가 기자실 운영지원, 특정 신문사 도서구입, 관행적 촌지전달에 대해 예산삭감을 원하고 있으며 기자실 폐쇄에 대해서는 85.5%가 찬성한다고 대답했다. 부평구 공직협은 ‘기자실 폐쇄’를 위해 5일부터 부평역 광장에서 ‘대국민 아침선전전’을 시작하고 구청 현관 및 기자실 앞에서 점심시간마다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오는 17일까지 구청장과 출입기자단이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 21일 강제폐쇄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했다.
강원지역공직협연합측도 ‘이제 언론사와 지방자치단체는 변해야 한다’는 성명서를 통해 “강원도내에서 기자실 운영에 70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며 “정식 임대계약 및 운영비, 고용인건비 등 언론사 부담을 통해 운영방안을 개선하거나 폐쇄하라”고 주장했다. 언론개혁경남본부에 의하면 경남지역의 19개 시·군청 기자실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이 연간 2억52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자실 폐쇄운동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지방일간지의 한 기자는 “군부독재 때나 있을 법한 기자실의 부작용을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며 “시민의 알권리 보장과 권력견제, 업무홍보 등 긍정적인 면도 생각해줬으면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무조건적인 폐쇄보다 브리핑룸 전환 등 지역 실정에 맞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게 효율적이지 않겠느냐”고 제시했다.

충북 북부지역 시민사회 단체위성 동시 재전송 반대 성명

민예총 제천 단양지부를 비롯한 충북 북부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정부의 지상파 위성 동시 재전송 계획을 즉각 철회 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위성 동시 재전송은 서울 지상파 3사만을 배려한 채널 결정이라며 “정부는 지역 방송의 역할을 인정하고 지역방송 살리기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