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부분 이전 가능성은 여전, 5000명 인구 유입 기대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차량관리단의 이전 후보지로 대전이 급부상하고 있어 지역으로의 완전 이전을 기대했던 제천시민들의 바람은 물거품으로 돌아갈 공산이 커졌다.

지역 출신 서재관 국회의원(무소속)은 “철도공사가 대전시와 경기도 고양시, 제천시 등 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차량관리단 이전에 따른 타당성을 검토 중인 가운데, 대전시가 차량관리단의 이전 부지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서 의원에 따르면 철도공사는 공사 전환과 함께 철도청으로부터 넘겨받은 11조 원의 부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울 용산에 위치한 서울차량관리공단을 지방으로 이전키로 했으며, 이르면 오는 3월 중 이와 관련한 계획이 발표될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지방 이전으로 유휴지화하는 용산 관리단 부지는 용산역과 연계한 역세권으로 개발돼 향후 3조 8000억 원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분석됐다는 것.

이미 지난해 8월 정부가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용산 역세권개발이 포함된 ‘철도공사 경영개선종합대책’을 확정 발표하자, 제천시와 시민들은 차량관리단의 일괄 제천 이전을 강력히 요구해왔다.
그러나, 국회 건설교통위원으로서 지역구 최대의 현안사업 중 하나인 서울차량관리단의 지방 이전 추진 과정을 누구보다 속속들이 알고 있을 서 의원이 우선순위로 제천이 아닌 대전시를 거명한 사실을 감안할 때, 제천으로의 일괄 이전은 사실상 물 건너간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충북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분산배치 문제로 1년 넘게 속앓이를 하고 있는 제천의 입장에서는 또 한 번 헛물만 켜게 된 셈이다.

서 의원은 그러나 “13만4천 평 규모의 차량관리단 조성 부지 가운데 우선순위인 대전시를 제외하면 최소한 4~5만평 규모가 제천지역으로 이전될 수도 있다”며 여운을 남겼다. 이는 지난 2005년 철도공사의 의뢰를 받아 한국철도개발(주)이 제시한 이전방안을 철도공사가 수용한다는 전제에 따른 것으로, 현 서울차량관리단 종사자 수가 2만여 명인 점을 감안하면 차량관리단이 제천으로 부분 이전될 경우 최소 5000여 명의 인구유입효과가 뒤따를 전망이다.

이에 따라 지역에서는 “차량관리단의 일부라도 제천으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철도공사나 정부를 상대로 막바지 유치 활동을 전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반응이 표출되는 등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혁신도시 분산배치 논란의 학습효과로 시민들의 조바심은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 윤상훈 기자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