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를 유치하려는 충북과 대전·충남의 줄다리기가 팽팽하다. 충북만 해도 청원군 오송과 현도가 하마평에 오르고 있고, 충주와 옥천도 행정수도를 끌어오겠다며 유치전에 뛰어드는 등 분위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지역단위의 움직임이나 자기 논에 물대기식 계산법과는 상관없이 유력한 후보지들이 상당한 객관성을 띤 채 거론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지금 집중 거론되는 후보지는 오송을 비롯해 공주시 장기면과 연기군 종촌면 등이다.
장기면은 박정희 대통령 시절 매입한 500만평의 국유지가 있는 곳으로 1000만평 이상의 공간이 필요한 행정수도 이전에 있어 비용절감 측면의 유리한 점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장기면은 경부축에서 벗어나 있다는 단점으로 종촌과 오송보다 부적합하다는 분석이 더 큰 세를 얻고 있다.
이처럼 행정수도 이전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는 것은 ‘천도(遷都)’가 지역발전에 미칠 획기적 효과 때문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물론 수도 이전이 분산형으로 이뤄지는 상황은 호들갑 떨 일이 아닌 만큼 논외지만, 입법부와 사법부까지는 모르더라도 행정부의 모든 부처가 내려오는 집중형이 될 경우 천도 효과는 메가톤급이 된다. 그래서 모두들 이 가능성을 상정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정작 오송주민들은 “(오송이)행정수도의 주변으로 남는 게 낫다”는 입장이어서 이목을 끌고있다. 각종 행위제한으로 피해만 입기 십상인데다 정부의 투기억제책으로 기대이상의 토지보상을 바랄 수 없게 된 점 등이 이런 정서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다.
오송주민들의 이런 목소리는 행정수도를 충북에 유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식의 절대적 당위성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에게는 소지역 이기주의로 비쳐질만 하다. 그러나 고등방정식처럼 복잡한 행정수도 이전 문제에 접근하려면 이런 견해역시 일방적으로 매도할 수만 없다는 주장도 만만찮다.
150만명에 불과한 충북 인구중 청주와 청원에 거주하는 도민은 80만명이 넘는다. 90년대 시군통합 당시 청주-청원 통합이 무산된 데에는 기득권 유지를 바라는 청원군의 저항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이 사실이지만 다른 이면에는 슬하를 떠나 너무 커버린 청주시가 자신의 구심력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지 않을까 우려한 충북도의 ‘장자 견제심리’도 있었다는 게 정설이다. 따라서 지역 일각에서는 “워싱턴DC처럼 특구지정이 불가피한 집중형 행정수도가 충북에 건설되면 충북도의 행정구역 체계는 충북도와 특별시, 청주시, 청원군 등으로 짜여지게 돼 충북도의 위상이 어정쩡해지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동일 연장선에서 나오고 있다. 행정수도를 반드시 충북으로 유치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만 치우치지 말고 행정수도 특별시, 광역시에 버금가는 청주시, 청원군을 지근거리에 둔 지방정부(충북도)의 골격 변화도 냉정히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결국 현 시점에서 우리에게 요구되는 덕목은 섣부른 전망이나 근거없이 지나친 기대감, 또는 우려에 사로잡혀 우왕좌왕하기 보다는 진인사 대천명의 자세로 충북의 행정수도 수용태세를 차분히 점검하고 준비해 나가는 자세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