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시설 BOD처리에 중점 ‘절름발이’… 총질소는 못잡아
‘턱없이 부족한 하·폐수 처리율+불완전한 하수처리시설’
지난 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2급수 수질을 보여온 대청호수가 98년부터 3급수로 악화된 데에는 상류에서 유입하는 하·폐수의 7할 가까이를 아무 처리과정없이 원폐수 상태로 댐지역에 흘려보내고 있는 현재의 하수처리 시스템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더구나 대청댐 상류지역에 설치된 몇 안되는 하수종말처리시설조차 여러 오염분야 중 BOD라는 한정된 분야에만 처리기능이 한정,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온 것도 대청호 수질 악화의 주요 원인이 돼 온 것으로 밝혀졌다.
수자원공사와 금강환경관리청에 따르면 대청호 상류유역에 설치된 하수종말처리장은 충남에 1개곳과 충북에 9개소 등 총 10개소에 불과하다. 충북에는 청원 풍곡하수종말처리장을 비롯, 보은, 회북, 삼승(이상 보은지역) 옥천, 안내, 동이, 안남(이상 옥천지역) 영동 등 9개 지역에 하수처리시설이 설치돼 있다.

처리율 전국평균 절반도 안돼

그러나 이들 10개 하수종말처리장의 하루 처리능력은 4만3780t으로 98년말 현재 대청댐 상류에서 유입되는 총 하·폐수발생량(만9900t/일)의 21.5%에 불과하다. 반면 전국의 주요하천과 호소지역의 평균 하폐수처리율은 68.4%에 이르고 있다. 대청댐 상류의 하폐수처리율이 전국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금강환경관리청 운영과 이영성계장은 “하·폐수처리율은 총 발생량 대비 처리량으로 산출하지 않고 상류유역 거주 총인구중 하수처리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비율로 산출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하수처리율이 이처럼 낮다”고 말했다. 어쨌든 대청호물은 매일매일 새로 유입되는 상류의 물중 7할이상이 아무런 하폐수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원폐수 상태로 흘러들고 있다는 계산이다.
그나마 제기능 못하는 처리시설

그러나 대청호의 수질악화를 초래하는 원인 중에는 저조한 하폐수처리율에 못지 않게 기존에 설치돼 가동되고 있는 하수처리시설의 ‘기능부전’도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자원공사 대청댐관리사무소의 김진원환경과장은 “대청호의 수질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상류에서부터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처리시설의 확충과 함께 현재 BOD분야 처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시설의 기능을 강화, 총질소(T-P)와 총인(T-P)을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하수처리장들은 총질소와 총인을 잡을 수 있는 고도처리시설이 없어 COD부문 처리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편 금강환경관리청은 최근 국회를 통과한 금강 낙동강 영산·섬진강 3대 수계 특별법안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특별법안의 통과로 인해 2005년까지 대청댐 물의 COD수치를 2mg/l(ppm)수준으로 낮춘다는 야심찬 계획이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2005년까지 깨끗한 물 만든다
수질특별법 제정계기 5000억들여
충북에 11개소 등 총 23개 하수처리장 건설

앞서 지적한대로 대청호 상류유역에서 발생하는 하폐수는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채 거대한 ‘웅덩이’로 흘러들면서 대청호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로서는 설령 주민욕구를 눌러가면서까지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려는 의지가 있더라도 ‘돈’이 없어 속수무책이기 일쑤다.
바로 이런 현실을 잘 알고 있는 금강환경관리청은 수질개선 특별법의 통과에 모든 것을 걸다시피 하고 있다. 핵심부터 말한다면 2005년까지 대청댐 상류지역에 5000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집중투하, 대청호 수질을 1급수에 가까운 2급수(COD수치 2mg/l)로 유지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짜놓고 있다. 재원은 특별법이 마련해 줄 것이다.
금강환경관리청 관계자는 “특별법이 확정되면 충북에 11개소, 충남 2개소, 전북 10개소 등 23개곳에 하수종말처리시설(총 처리용량 5만9450t/일)을 설치할 계획”이라며 “새로 설치되는 시설은 총질소와 총인을 처리할 수 있는 소위 ‘고도처리 시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기존에 설치돼 있는 10개소의 하수처리시설에도 점차 고도처리 시설을 보강, 대청댐 상류에 유입되는 하폐수 처리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여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올해 ‘조류대발생’ 발령까지 날 정도로 수질악화 비상이 걸린 대청댐이 4년내에 ‘맑은 물’로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인지 주목된다.
/ 임철의 기자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