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쇄신파 의원 23명이 제안한 발전적 해체론은 결국 신당창당을 통한 정계개편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의 간판을 내리는 대신, 한나라당 개혁성향 의원들, 개혁적 국민정당, 그리고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참여하는 개혁적인 신당을 만들겠다는 구상이 거기에는 깔려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한나라당 소장개혁파 의원들이 이같은 신당창당 움직임에 조기 합류할 가능성은 일단 희박해 보인다. 우선 민주당 쇄신파 의원들도 한나라당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극도의 말조심을 하고 있다. 민주당의 발전적 해체를 주장하면서도 그 이후의 신당창당의 그림에 대해 말을 아끼는 것도, 그같은 논의가 한나라당의 거센 반발을 불러올 것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한나라당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당쇄신을 요구하고 있는 한나라당 소장파 의원들도 탈당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분명히 긋고 있다. 자신들의 정계계편 참여 가능성이 거론될 경우 쇄신을 요구하는 당내 입지가 크게 어려워질 것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노무현 당선자측 입장에서도 무리한 정계개편 시도가 집권 초기 국정운영에 한나라당의 거센 반발을 초래할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신당창당 수준의 정계개편까지는 일정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민주당내에서도 발전적 해체론이 당론화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발전적 해체 이후의 대안이 가시화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신주류측에서도 일단은 전당대회를 통한 지도부 교체와 당체질 개선을 이루고, 신당창당의 문제는 17대 총선 이전까지 시간을 갖고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민주당 쇄신파가 주도하는 신당창당은 17대 총선이 임박한 2003년말경에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과정에서 정계개편의 폭을 좌우하는 가장 큰 변수는 한나라당의 분열여부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나라당내 주류와 소장개혁파간에는 근본적인 인식의 차이가 자리하고 있다. 대선패배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사고를 바꿀 줄 모르는 주류 아래에서 이들 소장개혁파들의 공존이 가능할지는 불투명한 문제이다. 특히 수도권지역의 의원들에게는 당장 17대 총선에서의 당선이 초미의 과제일 수밖에 없다. 변화할 줄 모르는 한나라당의 간판으로는 수도권에서 선거를 치르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인사들이 탈당을 택할 가능성도 있다. 그 경우 이들은 바로 민주당에 합류하는 부담스러운 행보를 하는 대신, 일단 독자적인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한 뒤, 총선을 앞두고 새로운 판짜기에 참여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지금 민주당과 한나라당에서 불붙은 당개혁 움직임은 일단 2004년의 17대 총선에서 총정리되게 되어 있다. 그때 국민들에게 어떤 평가를 받게될지를 의식하며 두 당은 자기 개혁작업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지금의 정당개혁은 3김정치시대 이후의 새로운 정치질서를 구축하는 과정이라는 사실이다. 수십년간 유지되어온 구체제가 해체되고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는 대전환기를 우리 정치는 맞고 있다. 그렇다면 그 변화의 폭은 혁명적일 수밖에 없다. 아직도 그 의미를 읽지 못하는 세력은 도태될 수밖에 없다. 16대 대선을 거치고서도 이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정치인들은 더 이상 정치를 할 자격이 없는 사람들임에 분명하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