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은 인터넷의 위력을 확실하게 보여준 선거였다. 더 정확히 말하면 대통령도 만들어 낸다고 믿고 있던 거대 보수 언론의 위력이 바다같이 넓은 정보의 통로인 인터넷을 통해 무력화되었다는 사실이다.
노무현씨의 당선은 정치적으로 보아 기존의 정치분석 방식으로는 잘 설명되지 않는 하나의 사회·문화적 사건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정당 후보간의 정치적 대결로써 보다 과거의 질서 및 대세론을 존중한 세력과 새로운 질서를 요구하며 틀의 변화를 추구한 세력이 대통령 선거를 통해 충돌했고, 새로운 질서를 요구한 세력이 한판승을 거두었다는 얘기다.
과거의 질서 또는 보수 세력의 혁파는 역사적으로도 혁명적 방법을 동원하지 않고는 그렇게 쉽게 생명선을 놓지 않는다. 이들은 주류로서 여론을 만들어 내고 확대 재생산 할 수 있는 능력과 수단을 지닌 계층이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대선 직전 보수 성향의 언론들은 도청, 북한 핵 문제, 행정수도 이전 등 갖가지 논쟁을 불러 일으켜 과거의 질서를 유지하려 애썼다. 그럼에도 선거를 통해 새로운 틀의 변화를 가져온 것은 어떤 요인이 있었던 것인가.
바로 인터넷이라는 완충 흡수층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평가다. 이들이 쏟아 놓는 정보가 수용자(국민)에게 직접 도달하기 전에 정보의 바다(인터넷)에서 걸러졌고 이미 도달되었더라도 새롭게 리뷰하는 토론의 장에서 진실을 찾을 수 있었다. 정보의 통로는 바다같이 넓어져서 진실이 아니고는 해결되지 않았던 것이다.
국민통합 21 정몽준 대표가 ‘지지철회’가 있던 18일 인터넷 포털 ‘다음’이 운영한 ‘대선특집’은 이날 드나든 횟수가 500만회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티즌들은 밤새 인터넷을 통해 사태의 전말에 대한 정보를 찾아냈고, 이를 전파함으로써 보수 언론의 부정적 견해가 도달되기 전에 상황 종료를 선언한 것이다.
선거 초반 밀리던 분위기를 후반 젊은 층의 선거 참여로 역전시킨 것도 뛰어난 전달성을 가진 인터넷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에 앞서 노무현 당선자가 끝까지 후보로서 버텨낼 수 있는 근간이 되었던 ‘노사모’의 결성과 활동도 인터넷이라는 사이버 공간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면대면 의사 표현에 익숙치 못한 우리의 문화적 약점이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공간에서는 힘을 쓰지 못함에 따라 적극적 의사 표현과 연대감으로 새로운 질서를 추구하는 노무현의 그늘에 모이게 한 것이다.
이를 두고 전자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한껏 연 것으로 평가하는 긍정론과, 이는 정보 접근성의 한계(인터넷 가능여부)로 인한 또 다른 불평등을 초래한다는 부정적 견해로 맞서있다.
그러나 이미 인터넷은 언론 신뢰도(한국언론재단 2002 언론 신뢰도 조사)에서 신문, 방송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그 사용인구도 1천만을 넘어선 명실상부한 미디어다.
정보 접근 불평등 문제는 간과 할 수 없지만 인터넷 매체를 매개로 전개되는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는 세력이 ‘뭔가 어줍잖고 불안·불순한 세력’으로만 치부되어서는 안되는 이유다.
조그만 지방 주간지 ‘충청리뷰’가 검찰의 부당한 보복 수사에 맞설 수 있었던 것도 충청리뷰 인터넷 홈페이 접속이 1000여 페이지뷰를 기록하며 바다 같은 넓은 정보의 통로를 통해 진실을 가려 보려는 네티즌의 힘이 버팀목이 됐음도 한 사례라 할 수 있다.
/ 기획취재부장 minkm626@hanmail.net

동아 ‘자전거경품’ 공개사과하나

“불복땐 공정위 고발”위약금 20억 육박

자전거 경품 사용 등으로 신문공정경쟁규약을 상습 위반한 동아일보가 지난 10월 30일 내려진 신문공정경쟁위원회의 ‘공개사과’ 조치에 어떻게 대응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개사과’를 받은 동아일보는 해당 부문 총책임자를 신문공정경쟁위원회 회의에 출석시켜 해당 사안에 대해 해명·사과하고 시정계획을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문공정경쟁위원회는 지난달 말 동아일보측에 오는 18일 열리는 신문공정경쟁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줄 것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징계를 받은 신문사가 공개사과 명령을 거부하거나 계속 규약을 지키지 않으면 신문공정경쟁위원회는 한국신문협회에 회원 자격정지를 요청하고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