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500년을 통틀어 가장 출중했던 재상이라면 지체없이 세종 때의 황희(1363~1452)를 첫 손가락에 꼽을 것입니다.

황희는 정치적인 능력도 탁월했을 뿐 아니라 청렴하기로서도 만인의 사표가 되었습니다. 거기다 도량이 넓고 대범한 인품에 인간미마저 따뜻했던 그야말로 명재상이었습니다.

그가 위로 오직 임금이 있고 아래로 만백성이 있다는 일인지하 만인지상(一人之下 萬人之上)의 자리에 무려 18년이나 재임했던 것으로도 그의 뛰어난 탁월성은 입증되고도 남습니다.

정사(正史)나 야사(野史)를 막론하고 황희정승에 대해서는 많은 인간적인 일화가 전해 옵니다. 이런 일이 있었던 모양입니다. 하루는 여자아이 종 둘이서 한참을 소란스럽게 다투더니 한 아이가 황 정승에게 쪼르르 달려와 콩이니 팥이니 상대방의 잘못을 일러바쳤습니다. 이야기를 들은 황정승은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습니다. “오냐, 오냐. 네 말이 옳구나.”

그런데 이번에는 다른 아이가 달려와 분을 삭이지 못하고 재잘재잘 상대방의 잘못을 고해바칩니다. 그 아이의 말을 들은 황정승은 또한 웃으며 말합니다. “오냐, 오냐. 네 말이 맞다.”

그때 마침 곁에서 지켜보던 조카가 어이가 없어 한 마디 합니다. “아니 숙부님. 한 쪽이 옳으면 한 쪽은 그른 법이지 이쪽도 옳고 저 쪽도 옳다고 하시면 도대체 어느 쪽이 옳다는 말씀입니까.” 그러자 황정승은“그렇구나. 네 말도 옳구나.”하고 읽던 책을 계속 읽는 것이었습니다.

황정승은 성품이 너그러워 하인자식들도 어려운 줄을 모르고 어리광을 부리고 심지어는 수염을 잡아당기는 무엄한 녀석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황정승은 한 번도 성내어 꾸짖지 않았습니다. 보다 못한 부인이 “아유, 집에서 저런 양반이 어떻게 정승노릇을 하고 나랏일을 보실 까요”하고 핀잔을 합니다.

황정승은 “하인도 하늘이 내려주신 이 땅의 백성인데 어찌 엄하게만 대할 수 있으리요”하고 대답합니다. 그는 따스한 인간미, 너그러운 인품, 투철한 민본정신이 밑바탕이 되어 고려, 조선 두 왕조, 몇 임금에 걸쳐 중용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근년에 와 국무총리를 왕조시대의 영의정에 비유하여 ‘일인지하 만인지상’이라고 말하곤 합니다. 대명천지 민주사회에서 총리가 어찌 만인지상이 될 수 있을까만 대통령 유고시 막중한 권한을 이어받는 자리임을 감안해 그런 표현을 쓰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노무현대통령이 새 국무총리에 여성인 한명숙의원을 지명하자 하마평(下馬評)이 무성합니다. 국회인준을 받게되면 헌정사상 첫 여성총리가 탄생하는 셈이니 그의 인물 됨됨을 놓고 여러 얘기들이 회자(膾炙)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요 몇 해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많이 신장됐다고는 해도 여성이 총리로 발탁됐다는 것은 그 상징성으로 보아 의미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그의 지명에 대해 여성계는 물론 재야·시민단체, 나아가 야당, 특히 한나라당까지 적절한 발탁이라고 수긍하는 것을 보면 인사 때마다 비판을 받던 노무현대통령이 이번만은 제대로 사람을 고른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듣자하니 한 지명자는 “부드러움으로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펴겠다”고 소감을 말했다고 합니다. 원론적인 피력이긴 하지만 전 총리들과는 다른 느낌을 주는 것은 여성총리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크기 때문일 것입니다.

노자(老子)의 말씀이 아니더라도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기는 것’은 만고의 진리입니다. 한 지명자는 여성다운 부드러움과 섬세함으로 흐트러진 민심을 하나로 모으고 힘없는 서민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그런 정치를 펴주었으면 합니다. 새봄과 함께 새롭게 출발하는 한명숙내각이 성공한 전례가 되기를 기대하고자 합니다.
/ 본사고문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