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의 넓은 들은 서쪽 끝으로 펼쳐지고 있다. 동쪽으로는 우암산, 상당산, 선도산이 봄바람을 차단하는 통에 청주의 봄은 서쪽의 부모산이 먼저 안다.

청주의 지세를 보면 동쪽은 산악지대로 막혀있고 서쪽은 구릉지대와 평야를 형성하며 기름진 땅을 제공하고 있다. 북진을 하는 무심천은 까치내에서 미호천과 몸을 섞으며 바다를 연모하듯 서남쪽으로 고개를 튼다.

서원경 시대부터는 당산, 우암산을 진산으로 삼으며 도시가 남북으로 발달하였다. 남북으로 긴축을 형성한 모습이 마치 배(舟) 모양 같다하여 주성(舟城)이란 별칭이 생겨났고 용두사지철당간은 주성의 돛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고대국가가 형성되기 이전이나 고대국가 초기로 보면 무심천을 경계로 하여 동쪽보다 서쪽에 인류의 족적이 훨씬 더 많다. 청주문화의 시발점은 상당구가 아니라 흥덕구 쪽이다. 미호평야로 이어지는 들판에는 선사시대의 유적이 즐비하다. 홍적토와 충적토가 시루떡처럼 쌓인 미호천 변에서는 선사시대의 석기가 오송, 오창단지 조성으로 깊은 잠에서 깨어나고 있다.

고속철 건설구간인 청원군 강외면 궁평리에서 출토된 청동기 시대의 집터로 말미암아 경부 고속철 구간의 문화재 조사가 다시 이루어졌을 정도다.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조사한 쌍청리의 신석기 유적도 눈여겨볼 만 하다. 여기서 나온 뾰죽밑 토기는 충청도 신석기 빗살토기의 한 전형이 될 뿐만 아니라 한강과 낙동강의 신석기 문화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청동기 시대에 부모산 근처의 비하동에서는 검은 간토기(黑陶)등이 출토되었다. 송절동 일대에는 원삼국 고분이 즐비하다. 1~2세기의 원삼국 고분은 청주의 초기철기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이다. 주둥이가 떡 벌어진 둥근 항아리는 미호천 변에서 토기를 굽고 농경생활과 수렵생활을 하던 선인의 흔적이다.

비하동 청동기 문화는 송절동으로 이어지고 다시 봉명동~신봉동으로 역사의 바통을 넘겨준다. 봉명동 유적은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초기철기 시대를 총망라하는 복합 유적이다. 특히 이곳에서는 수많은 집터가 조사되었다. 부뚜막도 나왔고 높이 1m나 되는 큰 항아리도 출토되었다. 이곳을 조사한 한 교수는 “아마 이곳 주민이 청주시민 1호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봉동 유적은 마한의 문화와 이른 백제의 문화가 혼재된 곳이다. 명심산(明心山)에는 두 문화가 공존한다. 3~5세기경, 이른 백제는 질그릇 문화를 가진 마한 세력을 정복하고 이곳을 백제의 영토로 편입시킨다. 청동검 정도로는 강력한 철기문화를 갖춘 백제세력을 꺾을 수 없었던 모양이다.

명심산자락 수많은 고분에서는 질그릇과 무구류(武具流)가 쏟아져 나온다. 산 아래쪽으로는 질그릇이 많고 위쪽으로 갈수록 창, 화살촉, 둥근 손잡이가 달린 긴칼(환두대도)등 철기류가 많다. 돌방무덤(석실묘)은 지배자의 유택이고 그만 못한 움무덤(토광묘) 등도 많다. 긴칼 둥근 손잡이를 은으로 만들었거나 상감기법으로 용, 봉황의 무늬를 둥근 손잡이에 새겨 넣은 것을 보면 그 세공기술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청주가 서쪽으로 뻗어나가자 ‘우암산 시대는 가고 부모산 시대가 왔다’라는 말이 회자된다. 엄격히 따지면 부모산 시대가 온 게 아니라 부모산 시대로 다시 돌아간 것일 뿐이다. 역사의 회전에 경외감을 느끼는 것이다.
/ 언론인·향토사학자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