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년 이어 또다시 개인출원, 보도후 3개월째 기증안해

지난 99년 직지 상표권 개인출원으로 물의를 빚었던 김현문시의원은 올 7월 똑같은 일을 되풀이했다. 3년전 김의원은 9개 상품류에 대해 출원했으나 도형등 2개 부분이 등록됐고 뒤늦게 사실이 알려져 시민사회단체의 비난이 쏟아지자 기증형식을 밟아 시에 상표권을 넘겨줬다. 당시 김의원은 청주시민회 산하 직지찾기운동본부 본부장 신분이었기에 여론의 질타는 더욱 심했다. 시민단체와 함께 직지의 문화재적 가치를 고양하는데 앞장서 온 김의원에게 이 사건은 치명적인 상처를 안겨주었다.
하지만 김의원은 상표권 소동이 벌어진 1년뒤인 2000년 2건, 2001년 2건, 2002년 1건 등 총 5건의 상표권을 연속적으로 특허출원해 서지정보 1개분야에 대한 등록결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대해 고인쇄박물관측은 “대전특허청에서 지난 7월초 전화연락이 왔다. 개인이 직지 상표권을 추가등록했는데 청주시가 알고 있느냐는 내용이었다. 깜짝놀라 일단 부서장에게 보고하고 자초지종을 파악하기 위해 김의원과 이튿날 저녁약속을 했으나, 뒤늦게 약속을 하루 미루자는 전화연락이 왔다. 그런데 그날밤부터 방송뉴스 터졌고 다음날 신문에도 보도됐다. ‘시에서 미온적으로 대처해 내가 직접 특허를 받아 시나 시민단체에 기부하려고 출원했다’고 발뺌하며 오히려 역공을 하는 상황이었다. 언론플레이에 당한 것인데, 그렇다면 약속대로 시에 기증해야 할 것 아닌가? 하지만 3개월이 지나도록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김의원은 “고인쇄박물관쪽 사람과 저녁에 만나기로 했는데, 이미 오후부터 기자들의 취재전화가 오기 시작했다. 지난번처럼 언론에 흘려 여론재판으로 몰고가려는 의도로 판단됐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며 대응한 것이다. 시의 업무처리가 미온적, 소극적이라는 문제점을 간과한 채 나한테만 화살을 돌리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 청주시는 추가등록 사실을 안 7월 이후에도 상표권 기증을 공식적으로 요구한 적이 없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먼저 나서는가, 지난번 기증한 것도 시관계자는 ‘회수’라고 표현하는 실정이다. 차라리 합당한 시민단체에 기증하는 것이 더 유익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의원의 이같은 입장설명에도 불구하고 직지 상표권 출원에 그토록 집착하는 이유에 대한 해명으론 불충분하다. 과연 매너리즘에 빠진 공무원에게 경종을 울리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어쩔 수 없는 직지에 대한 과도한 애정인지 분간할 수없다. 우선 경종을 울릴 뜻이었다면 서둘러 재기증하는 것이 순리일 것이다. ‘과도한 애정’이라면 직지를 위해 흥덕사를 위해 그 열을 일단 식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부에서는 김의원의 거듭된 상표권 소동을 ‘과도한 애정’이 아닌 ‘과도한 사욕’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