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박한 청주 웃다리 농악에 시름 잊고..." <임병무>

한국인이라면 농악을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다. 농악은 바로 우리의 음악이기 때문이다. 꽹과리와 장고, 북과 징속에는 우리 배달겨레의 원초적 혼과 신명이 숨어 있다. 

 도시화, 산업화의 물결속에서도 농악은 퇴출당하지 않는다. 수천년을 이어온 겨레의 울림이자 농경사회, 공동체를 다져온 무형의 구심점이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농경사회에서는 일년 내내 농악이 생활의 곁을 떠나지 않는다. 정월 대보름에는 집터를 밟아주고 단오날에는 씨름판의 흥을 돋워주며 한가위에는 둥근 달과 둥근 상모가 어우러지며 명절의 정취를 고조시킨다.

 농악은 삶의 몸짓이자 영혼의 분출이다. 오랜 세월을 두고 한민족의 몸속에 용해되어 있는 까닭에 시시때때로 신명을 불러내어 어깨춤을 들썩이게 한다.

 ' 까치걸음 칠채가락 신명의 회오리 바람/ 들녘의 한 모퉁이 지신(地神)을 달래고 있다/ 등잔속 수심의 길쌈 청주댁의 한풀이.../ 중모리 중중모리 휘모리로 달구는 마당/ 왕산악 우륵 박연 백결선생 뜯던 가락/ 청아한 현이 떨면서 풀어가는 천년의 말/ 꽹과리 세마치 장단 사직벌을 다 적신다/ 우암산도 우렁우렁 무심천도 출렁출렁/ 쇠소리 소지를 먹여 상령산(上嶺山:상당산성)을 오른다'

 필자가 쓴 시조 '청주농악' 전문이다. 타악기의 오묘한 합창에 사람들의 어깨짓도 들썩이고 산도 냇물도 화답을 하는 듯 하다. 청솔가지를 스치는 부드러운 바람이 중모리라면 폭풍우로 몰아쳐 용트림으로 굿판을 몰고가는 것은 중중모리와 휘몰이다. 마지막에는 다시 실바람이 되어 자연을 잠재운다.

▲ 청주 웃다리 농악 시연장면 전통음악중에 가장 많이 접하면서도 가장 많이 감명을 주는게 다름아닌 농악이다. 원래 농악은 두레굿, 풍장굿, 풍물굿, 이라 했는데 일제가 민족혼을 말살키 위해 이런 말들을 없애고 '농악'이란 용어를 대신 쓰게했다는 학설도 있다. 어디 일제를 거친 언어의 오염이 농악뿐이겠는가. 지명, 업종의 전문용어에 이르기까지 아직도 일본말이나 일어식 조어(造語)를 사용하는 예가 부지기수다. 겉 이름은 바뀌었다 해도 그안에 스민 우리 민족의 정서는 칠채가락, 꽃나부장단, 다드래기 장단, 굿거리 장단속에 고이 간직되어 때만되면 부활한다. 그게 바로 예술의 생명력이다. 록큰롤, 레게 등 현대 서양음악의 범람으로 다소간 쇠퇴하기는 했어도 농악은 농촌생활문화 가운데 한 축으로 남아 있을 정도로 생명력이 질기다. 모를 찌고 호미씻이를 거쳐 가을걷이를 할 때까지 논뚝, 밭뚝에서 울려퍼지며 농부의 시름을 달래주는 농악은 우리의 고유문화이자 얼이다. 흥풀이 뿐만 아니라 실제로 농악 장단은 노동의 효율성을 크게 높여준다. 열 사람이 몽땅 김을 매는 것 보다 일곱 사람이 김을 매고 세 사람이 농악을 치는게 훨씬 능률적이라고 한다. 이게 바로 두레 농악이다.요즘은 무슨 대회를 나가기 위해 특정 고장의 정체성을 잃은, 상품성 짙은 농악이 나돌기도 한다. 심사위원이 이를 모를리 없다. 모름지기 농악은 그 지방의 문화이므로 지나친 윤색은 오히려 원형을 잃게 할 우려가 있다.전국 어느 곳을 가보아도 농악 없는 마을이 없다. 각 지방의 농악은 그 풍토에서 생겨났기 때문에 각기 그 특성을 갖고 있다. 남도지방은 멋스러움이 특징이다. 북부지방은 단조로우면서도 강한 맛이 있다. 잘 알려지다시피 충북은 삼국의 접경지대였다. 그러한 지리적 특성이 농악에도 작용되었다. 충북의 농악은 촌스럽고 투박하나 템포가 다소 빠르고 특히 쇳소리가 강하다. 농경사회의 잔영(殘影)이 그대로 스며든 것이다.충북은 삼국의 각축장이므로 삼국의 모든 것을 수용하여 '충북농악' '청주농악'이라는 특유의 가락을 창조해 냈다. 음성등 경기도와 가까운 지역은 경기도 가락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북부지역엔 강원도 가락이 섞여 있다.마치 스위스의 복잡한 언어권을 연상케하나 그러면서도 예스러움과 투박한 맛을 지니고 있는게 충북의 웃다리 농악이며 청주의 농악이다. 이를테면 화이부동(和而不同)이다.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등에 자주 선을 보인 청주농악은 30여명으로 구성돼 있다. 지동동, 신대, 내곡동 등에 농악대원들이 흩어져 산다. 그전에는 청원군이었으나 80년대 중반 청주시로 편입된 지역이다.평소에는 생업에 종사하다가 정월대보름이나 농악경연대회 등이 열리면 그때 그 가락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칠채가락에 발을 맞추다 꽃나부 장단에 무등놀이를 펼치고 다드래기 장단으로 휘몰아 가다 굿거리 장단으로 평온을 되찾는다.흩어졌다 다시 모이고, 행렬을 이리저리 펼치고 정돈하는 농악 놀이에는 여러 진법(陣法)놀이가 있다. 이것은 삼국이 전투를 하던 유습이다. 상모는 투구요 진법은 전투대형이다. 전투에서의 유형이 농악으로 변용(變容)된 것이다.가락과 진법은 늘 상쇠의 지휘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 상쇠를 따라 농기(農旗)를 중심으로 둘둘 마는 멍석놀이가 있는가 하면 법고가 재간을 피우는 법고놀이, 갈림법고가 있다.진법놀이는 매우 다양한데 그중에서 사방진(四方陣), 오방진(五方陣), 을자진(乙字陣) 치기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진을 치면서 앞으로 전진했다 뒤로 물러났다 하는 것은 공격과 후퇴를 거듭하는 전투와 유사하다. ▲ 청주농악 상쇠 이종환 옹
굿판을 지휘하는  청주농악의 상쇠 이종환(李鍾煥. 79)씨의 재간은 도내 으뜸이다. 지금은 고령으로 옛날 같지는 못하지만 흥이 나면 옛날 가락과 신명이 되살아 난다. 

"혀짧은 사람이 말하는 것 처럼 깽깨갱, 깽깨갱 치는 것이 칠채 가락이여, 꽃나부 가락은 덩덕궁이와 비슷하지"

이씨는 꽹과리를 치면서 신명나게 가락의 흐름을 설명한다. 그는 쇠가락도 잘 내지만 개인기도 뛰어나다. 상모를 돌리는 '부포놀음'이라든지 앉았다 일어서는 '까치 걸음' 등 상쇠 놀이가 일품이다. 그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나 기타 대회에서 개인상을 탄 것만 해도 10여회를 웃돈다.

 지동동에 있는 그의 집에는 화려한 경력을 말해주듯 트로피와 상장이 방안에 가득하다. 

"뭐, 달리 배운건 없어. 어깨너머로 동네 어른들 한테 틈틈이 배운 것 뿐이야. 술은 못 먹어도 꽹과리만 잡으면 흥이 나거든..."

 평생을 농악과 함께 살아온 이씨는 건강의 비결이 ꡒ농악을 좋아하기 때문인 것 같다ꡓ고 귀띔한다. 목수 일로 가계를 꾸려갔으나 그를 목수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목수보다 '청주농악 상쇠'로 더 유명하기 때문이다.
 
이씨의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보아 이씨와 더불어 청주농악은 충북도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 신명의 회오리 바람은 청주를 문화예술도시로 가꾸는데 한 몫을 하고 있는 것이다. 
 
청주농악의 분신은 연변에도 살아있다. 중국 조선족자치주 도문시 양수진 정암촌(亭岩村)이라는 마을에 청주, 청원, 보은, 옥천 출신이 약 80호 모여 사는데 청주농악의 웃다리 가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이 마을은 지난 1993년 민요 채집차 만주지방을 답사하던 임동철 충북대교수(국문)에 의해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정암촌에는 다 헤진 북 하나만 덩그러니 있었다고 한다. 지난 60년대 문화혁명의 회오리속에서 홍위병들이 농악기를 다 부수고 감춰둔 북 하나만 살아 남은 것이다.
 
임교수는 귀국후 정암촌에 농악기 보내기 운동을 벌여 지금은 농악기와 농악복장 일습을 갖추고 있다. 마침 임교수는 '청주농악 보존회'를 이끌고 있다. 이곳과 정암촌의 농악을 비교 연구해 보면 산업화, 정보화속에서 잃어버린 우리의 가락을 되찾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임병무>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