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인천 강화군 광성보 전적지에서 봉행

 

인천 강화군 광성보 전적지에서 봉행된 '제150주기 광성제' 모습. (사진제공=(재)충장공 어재연 장군 추모 및 신미양요 기념사업회/음성타임즈)
인천 강화군 광성보 전적지에서 봉행된 '제150주기 광성제' 모습. (사진제공=(재)충장공 어재연 장군 추모 및 신미양요 기념사업회/음성타임즈)

신미양요 호국영령, 충장공 어재연 장군과 순국한 조선 방어군을 추모하는 ‘제150주기 광성제’가 지난 4일 인천 강화군 광성보 전적지에서 봉행됐다.

이날 제향에는 이응길 강화부군수, 양재형 기념사업회 회장, 어재선 (재)충장공 어재연 장군 추모 및 신미양요 기념사업회 이사장(함종어씨 충장공 현손)등이 현관을 맡아 제례를 수행했다.

이번 제향은 코로나19 방역수칙이 준수되는 가운데, 지난해에 이어 대폭 축소된 채 진행됐다.

광성제는 1871년 신미양요 당시 광성보에서 미국 로저스제독 함대와 당당히 맞서 싸우다 산화한 조선군 무명용사와 당시 지휘관이었던 어재연 장군의 넋을 기리는 행사이다.

특히 어재연 장군의 아우 어재순, 김현경, 유풍로 등 당시 막료, 진무아영 임지팽, 300여 명의 회령호포군 등 신미양요 호국영령을 위로하고 기리는 제향이다.

광성제향은 순국 당시 고중황제의 명으로 매년 음력 4월 24일 순국일에 강화군에서 집례해 온 관제로 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있다.

어재연 장군은 순조 23년, 그 시절 음죽현 상율면(음성군 금왕면)에서, 정 2품 지중추부사 유남(有南)의 증손이자 인동부사 석명(錫明)의 손자, 용인(用仁)의 둘째 아들로 탄생했다.

현재의 음성군(陰城郡)은 1895년(고종13년) 음성군으로 승격하고 1905년 충주군에 속해있던 금왕면 등 6개면을 편입했다.

1912년 금왕면 석원리 일부가 경기도 이천시에 이관됐으며 1914년 부령 제111호에 의해 9개면이 됐다.

인천 강화군 광성보 전적지에서 봉행된 '제150주기 광성제' 모습. (사진제공=(재)충장공 어재연 장군 추모 및 신미양요 기념사업회/음성타임즈)
인천 강화군 광성보 전적지에서 봉행된 '제150주기 광성제' 모습. (사진제공=(재)충장공 어재연 장군 추모 및 신미양요 기념사업회/음성타임즈)

한편 지난달 14일 (재)어재연 장군 추모 및 신미양요 기념사업회(이하 재단)는 전쟁기념관과 공동으로 서울 용산에 위치한 전쟁기념관 문화아카데미에서 신미양요 150주년 기념 학술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단이 후원한 이날 학술회의는 ‘어재연(魚在淵) 장군과 신미양요(辛未洋擾)의 재조명’이라는 주제로 이재범 전 경기대 부총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국내외 저명한 석학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 일대 호석원형분으로 조성된 충장공 어재연 장군과 아우 어재순의 '쌍충묘' (제공=음성타임즈)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 일대 호석원형분으로 조성된 충장공 어재연 장군과 아우 어재순의 '쌍충묘' (제공=음성타임즈)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