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각 공직협 진천군 주시
직협에 의한 기자실 강제 폐쇄 이후 3개월여가 되가는 진천군은 기자실 폐쇄에 따른 언론과의 불편한 관계 개선이나 원활한 군정 홍보를 위해 ‘브리핑 룸’으로의 전환 등을 모색하고 있지만 쉽지 만은 않다.
기자실 폐쇄로 관·언 유착 개선 등 여러 가지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일시적인 불편과 불만을 내세워 이와 유사한 브리핑 룸으로 전환하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는 공직협의 요구 때문이다.
진천군 공직협은 비리의 온상으로 비쳐져온 기자실 폐쇄 조치로 관·언 유착이 사라졌고 촌지 문화도 개선된 것으로 평가했다.
공직협 김상봉회장은 “전국적으로 기자실을 폐쇄하고 브리핑 룸으로 전환한 여러 곳에서 예전 기자실과 다를 것이 없다는 평가가 나와 이마져 폐쇄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브리핑 룸으로의 전환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진천군은 직원 휴게실과 브리핑 룸을 겸용해 쓸 수 있는 ‘다용도실’을 제시하고 있으나 보다 투명한 곳일 것과 용도와 목적을 분명히 해 줄 것을 공직협은 요구하고 있다.
실제 단위 공무원직장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에서 확산되고 있는 기자실 철폐 운동의 대부분이 ‘공개형 브리핑 룸’을 지향한다. 이미 브리핑 룸으로 전환한 기자실만해도 경남 사천·마산·남해시·고성군, 경북 구미·김천시, 전남 순천시·함평군, 경기 성남시·파주시 등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반면에 전남 목포시공직협은 기자실을 전환해 만든 브리핑 룸에 대해 “명칭만 바뀌었지 일부 기자의 개인 사무실로 사용되는 등 기존 기자실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강제 폐쇄한 사례가 있다.

어찌되었든 기자실 폐쇄 및 운영 개선은 이제 대세로 굳어졌다. 기자들도 상당 부분 공감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도내 각 자치단체들도 진천군의 기자실 폐쇄 이후의 변화된 상황과 여론 등을 예의 주시하며 이에 맞춰가며 대응할 태세다.
이들 단체의 공직협은 기자실의 사무실 무상 제공, 직원 인건비, 경상비(통신, 전화, 전기, 팩스 사용료), 기자재(전자 제품, 비품 등), 소모품비(음료수, 차·커피류, 간식, 복사용지 등) 기자실 운영에 지원되는 것이 법적 근거 없이 국민의 세금이란 사실을 내세우며 기자실 폐쇄 이유로 들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이러한 지자체의 기자실 운영 비용 부담 문제에 대해 일부 지역에서는 기자들 자체적으로 조달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기자협회는 기자실 운영 개선 문제에 대해 기자실 운영비를 각 언론사에서 자체 부담하고, 일반 전화를 언론사별로 개별 설치토록 하자는 안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
경남 통영시청 출입기자들은 공직협의 기자실 폐쇄 요구가 있자 지난 5월말 기자실을 나와 통영프레스센터란 이름으로 별도 사무실을 마련해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대체적인 흐름은 ‘공개형 브리핑 룸’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자실 운영에 따른 폐쇄성과 독점 문제를 제거하고 법적 근거가 없는 운영비 지원 문제도 줄일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론 학자들은 정보 접근권이나 알권리에 대한 관점이 다른 외국과 우리나라 풍토를 동일시, 형식만 바뀐 ‘브리핑 룸’이 되면 실패하게 된다고 지적한다.
/ 민경명·백낙영 기자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