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 평균 매출액 중앙지 1888억, 지방지 184억
저임금, 관 지원 토대로 ‘도토리 키재기식’ 난립이 문제

지역신문에 대한 기금지원을 둘러싼 입방아는 입법 과정부터 시작해 우선지원대상이 결정된 현재까지도 소란스럽기 짝이 없다. 우선 돈줄을 쥐고 있는 기획예산처는 아직까지도 “고성에 산불이 나도 저리 융자만 있을 뿐 무상 지원은 없다”며 기금의 존폐를 거론하고 있다.
또 지원대상이 결정되자 일부 탈락 언론사들은 “채점표를 공개하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말많은(?) 기금이 시한부로 주어진 6년의 생애를 무사히 마칠 수 있을지 염려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 제1조만 제대로 이해해도 기금이 탄생한 역사적 당위성을 이해할 수 있다. 1조의 전문은 ‘이 법은 지역신문의 건전한 발전기반을 조성하여 여론의 다원화, 민주주의 실현 및 지역사회 균형발전에 이바지 한다’는 것이다.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장호순(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위원은 본보 3월19일자(371호) 인터뷰에서 “지역언론이 바로 서지 못하면 지역사회의 부패정도가 심해질 수밖에 없고 자연히 경쟁력을 잃게 된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지역사회의 위기와 지역언론의 역할은 상호 작용한다는 것이다.

지역신문발전위 김영호(우석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부위원장도 4월2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국민들이 공감해야만 지역신문기금을 유지할 수 있다”며 “선택과 집중의 논리에 따라 건전한 지역언론을 집중 육성해야만 법을 제정한 취지를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신문이 경쟁력을 잃고 지역사회에 기생(?)하고 있는 것은 철저하게 공공기관의 광고 밀어주기와 저임금에 토대를 두고 있다.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김성재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2002년을 기준으로 10개 중앙지의 연간 평균 매출은 1888억원에 이른다.

이에 반해 지방지의 평균 매출은 184억원으로 10분의 1 수준이다. 중요한 것은 영업이익률로 중앙지가 0.9%로 그나마 현상유지를 하는 반면, 지방지는 2001년 -4.1%에 이어 2002년에도 -2.8%에 머물고 있다.

1인당 인건비(연봉)도 중앙지가 평균 4400만원, 지방지는 2100만원인데, 이는 전국 평균일 뿐 유난히 많은 신문이 경쟁하고 있는 충북의 상황은 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결국 지역에서도 경쟁력 있는 절대 강자를 세워 ‘민중의 목탁’이라는 언론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회적·제도적 기능을 발동해야할 시점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특히 IMF 구제금융 이후 신문시장 질서가 ‘조중동’ 등 이른바 ‘빅3’ 중심의 독과점체제로 재편된 것도 지역균형발전의 발목을 잡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일변도로 흘러가는 여론을 다원화하고 지방자치를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언론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