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청주시도시재생허브센터 대회의실에서 충북참여자치연대가 개최한 `청주테크노폴리스 지구 유적보전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는 발굴조사기관인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의 발굴 경과 보고와 발제에 이어 지정토론으로 진행했다.

황평우 한국문화정책연구소장은 발제에서 "문화재와 환경 정책·행정은 규제가 아니라 미래의 보험정책이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유적전시관을 지역과 연계한 에코 뮤지엄으로 확장해야 한다" 며 "소규모 유적전시관 운영체계는 협업과 연계망을 구축하고 무인 키오스크(KIOSK)와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전시체제를 구축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지정토론에 나선 성정용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는 “청주테크노폴리스 주변 지역은 마한과 초기 백제유적지로 유적의 가치나 규모에서 전국 최대로 역사의 뿌리이기도 하다.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고 유적에 대한 전문가들의 가치 판단이 잘못되었음을 차치하고 이제라도 개발과 보전에 대해 지역사회가 같이 고민해야 할 시간이다”고 말했다.

이어 “1차 부지에서만 550여 집터가 나왔다. 거주인구를 짐작하더라도 거대한 고대도시가 형성된 곳이다. 개발과 보전이라는 극단적 선택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좋은 것을 남겨야 한다. 3차 개발을 염두에 두고 남길 부분은 어디이고, 어떻게 남길 것인가를 고 논의하는 시발점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남규 한신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일본 최대 유적인 사가현(佐賀県) 요시노가리(吉野ヶ里) 유적을 예로 들며 "문화재를 지킬 책무와 향유할 권리가 있다. 청주가 난개발 도시화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박완희 청주시의원은 “2차 발굴지역은 되도록 보전해야 하며 청주문화 보존을 위해 에코뮤지엄 건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라경준 청주시문화재팀장은 “사업시행자와 문화재청이 매장문화재 보존 여부를 결정한다. 2차 지구에 대한 문화재청의 판단을 주시한다”며 "이곳에서 나온 1만여 점의 유물 가운데 주요 유물은 국립청주박물관으로 옮겨지고, 수장고 부족으로 나머지는 일단 국립경주박물관으로 갔다가 내년 국립공주박물관에 권역별 수장센터가 건립하면 그곳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주TP 일반산단 확장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는 2017년 5월부터 오늘 4월까지 진행한다. 현재까지 집터 550기 등 초기 삼국시대 유적과 함께 토기류와 금속기류 등의 유물이 발굴됐다.

시와 사업시행자인 ㈜청주테크노폴리스는 문화재청과 협의를 거쳐 1차 사업 출토 유물을 청주국립박물관에 이전하고 유구는 전시관(719㎡)과 역사공원(1만2479㎡)을 조성하기로 했다.

현재 발굴조사하는 2차 사업 구역에서 나오는 유물과 유구도 문화재청과 보존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문화재 출토가 유력한 3차 사업 구릉과 산지 지역 28만3610㎡는 사업시행자가 매입한 뒤 원형으로 시에 기부채납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