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도심 과밀학교 중심으로 인력·공간 부족 토로
돌봄의 취지 되살리고 실질적인 보완책 마련돼야

청주시 봉정초등학교 돌봄교실

초등학교 학부모들 사이에서 ‘돌봄 교실’ 수요가 매년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돌봄 교실 운영방법이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공간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의견부터 ‘진정한 돌봄이 부재하다’는 의견까지, 돌봄의 양적확장 뿐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보완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충북도내 학교에서 운영되는 돌봄 교실은 460개다. 2006년 처음 시행된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2013년 386개에서 2018년에는 460개로 늘었다.

460개 돌봄교실 중 오후 5시까지 운영되는 오후 돌봄교실은 415개, 3~4학년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방과후 연계 돌봄교실 34개, 저녁 10시까지 학교에서 돌봄이 이뤄지는 저녁돌봄교실은 11개다.

 

“어디에서 아이들을 돌볼까?”

현재 초등돌봄교실에서 우선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공간부족이다.

초등돌봄교실은 방과 후 별도로 마련한 교실에서 교사(전담사)들이 학생을 돌보는 제도임에도 정작 아이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청주지역 과밀학급에 해당하는 이야기인데 이들 학교에서는 별도의 돌봄교실이 없어 저학년 교실을 활용하고 있다.

즉 저학년 학생들이 수업이 끝나 집으로 돌아가면 책상과 의자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돗자리 등을 펴놓고 돌봄교실로 활용한다는 것.

실제 청주지역 A초등학교의 경우는 돌봄교실을 6개 운영하는데 돌봄 전용교실은 단 한개 뿐이다. 나머지 5개 교실은 아이들이 하교한 교실 5곳을 한 달씩 돌아가면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돌봄이라는 것의 원래 취지가 아이들이 집에서처럼 편히 쉴 수 있게 한다는 것인데 실제 현장에서는 전혀 그렇지 못하다. 책·걸상이 그대로 있는 좁은 환경에서 활동한다. 쉰다기보다 수업의 연장으로 생각하기 십상이다. 잠을 잔다든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어린 1학년 아이들에게는 매우 힘든 환경”이라고 지적했다.

방학을 맞은 청주시 봉정초등학교 학생들이 돌봄교실에서 활동하고 있다.

 

돌봄교실 3분의 1은 현직교사가 담당

인력 또한 문제로 지적된다.

현재 충북지역에서 돌봄 교실 운영은 전담사 326명과 현직 교사 107명이 담당한다. 돌봄교실의 3분의 1 가량을 현직 교사가 운영하고 있는 셈이다.

돌봄교실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돌봄 교실은 ‘또 다른 업무’로 인식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교사들 입장에서 돌봄은 너무 힘든 업무다. 아이들이 집으로 돌아간 후 교사는 수업준비도 해야 하고 행정업무도 해야 하는데 돌봄을 맡은 교사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그렇다보니 아이들을 돌본다기보다 사고가 나지 않도록만 하기도 급급한 실정이다. 외부강사가 와서 프로그램을 하는 시간에 틈틈이 행정업무 등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의 관계자는 “교사들의 어려움을 알고 있다. 돌봄이 교사들의 고유 업무가 아니라는 것도 안다. 하지만 당장 전담사 인건비를 감당할 예산이 없어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다양한 방법으로 점점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이들 돌봄은 지자체가 책임져야"

상황이 이렇다보니 돌봄의 영역은 더 이상 학교에서 해결할 수 있는 일이 아닌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교육청에서 지역의 돌봄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는 얘기다.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 말했다.

올 초 문재인 대통령이 ‘온종일 돌봄 체계’를 발표하며 돌봄을 확대한다고 밝힌바 있다. 

충북지역에서도 지역아동센터의 일반아동 선발 20% 확대, 다함께 돌봄 사업, 또 교육청과 지자체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행복교육지구사업의 돌봄사업 등을 확대·진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관계자들은 법이나 제도도 중요하지만 문제는 지자체에서 돌봄을 바라보는 시각과 이를 해결하려는 의지라고 입을 모은다.

한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지역에서 돌봄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었다. 하지만 그때뿐이다. 청주를 중심으로 돌봄교실 대기자가 460명이나 됐다. 인식이 확산되기는 했지만 올해도 이러한 현상은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